•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찰식(察識)에서 함양(涵養)으로-호상학의 이발찰식 수행법에 대한 주자(朱子)의 비판- (Zhu Xi’s Critique on Self-Introspective Meditation of Hu-xiang Xüe)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9.03
41P 미리보기
찰식(察識)에서 함양(涵養)으로-호상학의 이발찰식 수행법에 대한 주자(朱子)의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37호 / 37 ~ 77페이지
    · 저자명 : 이승환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호상학(湖湘學)의 이발찰식(已發察識) 수행법에 대한 주자의 비판을 분석하고 여기에 담긴 철학치료적 의의를 조명하려는 데 있다. 호상학파의 학자들은 현행하는 의식의 흐름을 관찰하다가 문득 드러나는 본성의 단초를 붙들어 보존하는 ‘선찰식후함양’(先察識後涵養)의 수행법을 견지하였다. 주자는 「관심설觀心說」을 비롯한 여러 문장에서, 의식을 사용하여 스스로의 의식을 관찰하려는 자기직관의 수행법(self-introspective meditation)은 눈으로 눈을 보고 입으로 입을 보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주자의 이러한 비판은 존재론/인식론/실천철학의 세 차원에서 조명될 수 있다. 먼저 존재론적 차원에서 볼 때, 자신의 의식을 관찰의 대상으로 삼는 이발찰식의 수행법은 주관의 ‘활동 그 자체’인 마음을 과도하게 대상화하거나 실체화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그리고 인식론적 차원에서 볼 때, 자기의 의식을 관
    찰하기 위하여 마음을 ‘보는 자’와 ‘보이는 자’로 분리하려는 시도는 자아 안에 자아를 관찰하는 난쟁이 자아를 설정하려는 시도처럼 무한소급의 오류(fallacy of infinite regression)를 범하고 있다. 또한 실천철학적 차원에서 볼 때, 자기의 의식을 관찰하기 위하여 내면으로 의식을 집중하는 수행법은 의식의 흐름 속에서 순간적으로 드러나는 주관적인 느낌이나 환상을 객관적 또는 보편적 진리로 착각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 호상학의 이발찰식 수행법에 대한 주자의 비판은 간주관적 의사소통과 합리적인 지식획득을 외면한 채 오로지 자기의 내면으로만 주의를 집중하는 신비주의적 성향을 가진 구도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part of continuous project which aims to elucidate the famous Neo-Confucian thinker, Zhu Xi’s view of self-cultivation. In this article, the author focuses on certain trend of meditation named yi-fa-ch’a-shih(self-introspective meditation) which has prevailed throughout the Hu-xiang province during the Sung dynasty. In this period seekers after the Truth, being influenced by Ch’an Buddhism, tried to realize the Original Nature of the self by tracing the stream of consciousness to its ultimate source. This kind of meditative practice shared among Confucian students, Taoist disciplinants, and Ch’an practitioners, may be named as self-introspective meditation. However, according to Zhu Xi, self-introspective meditation commits a philosophical fallacy by dividing the self into three parts: namely self as a watcher, self as an object of watching, and self as a unifier of the watching and the watched. Zhu Xi calls this kind of error caused by self-introspective meditation “a fallacy to eat the mouth with mouth, to see the eyes with eyes.” Zhu Xi sharply warns against meditative practitioners that such kind of wrong practice not only will lead them into a unenlightened state of un-settledness, but also will isolate them from social concern and everyday affairs. Zhu Xi’s critique on self-introspective meditation carries an important meaning of philosophical therapy which helps to cure the disease of mind caused by wrong meditative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