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송 김형원 시 연구- 잡지 『開闢』과 『生長』사이 - (A Study on the Poetry by Kim, Hyung Won(Seoksong)- between 『The Dawn of Civilization(Gye Byuk)』 and 『Growth and Development(Saeng Jang)』magazin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3.12
29P 미리보기
석송 김형원 시 연구- 잡지 『開闢』과 『生長』사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47호 / 101 ~ 129페이지
    · 저자명 : 강호정

    초록

    이 논문은 석송 김형원(1900~?)의 시론이 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개벽』과 『생장』이라는 두 잡지를 중심으로, 매체와의 관계 속에서 석송의 시와 시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석송에게 잡지 『개벽』과 『생장』의 의미는 남다르다고 할 수 있다. 석송은 『개벽』에 85편의 시와 6편의 번역시, 1편의 평론과 1편의 수필을 싣고 있다. 이는 『개벽』에 실린 다른 주요 시인들의 시(김억 57편, 김소월 48편, 이상화 26편, 주요한 10편)와 비교해 볼 때 월등히 많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석송 개인의 전체 작품 중에서 2/3에 해당하는 많은 양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석송이 『개벽』의 ‘독자문예현상모집’의 선자(選者)로 참여하여 ‘고선여감’을 남기는 등 『개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생장』에는 시 16편, 평론 2편, 산문 5편을 발표하고 있다. 발표 작품 수는 『개벽』에 못 미치나 석송 개인이 직접 주재한 ‘순문예잡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개벽』 시절이나 『생장』 시절, 석송의 시 혹은 시론이 일대 변모를 이루는 것은 아니다. 시기적으로도 불과 1-2년 사이여서 완전히 새로운 시세계를 보여준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개벽』시절에는 잡지 『개벽』이 보여준 계몽성이 석송의 문학관에도 드러나 있고, 『생장』시절에는 자신의 문예이론으로서 ‘민주문예론’을 강화한다고 할 수 있다. 두 시절을 구별하여 말하자면, 감정을 위주로 한 생활지향에서 좀 더 포괄적이고, ‘民’을 향한 민주지향의 문학관을 보여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how essays on poetry by Seoksong Kim, Hyung Won(1900~?) reflected on the poetry. Specially, this study will look into the poetry and essays on poetry by Seoksong within its relationship with media around two different magazines, called 『The Dawn of Civilization(Gye Byuk)』 and 『Growth and Development(Saeng Jang)』. The two magazines, 『The Dawn of Civilization(Gye Byuk)』 and 『Growth and Development(Saeng Jang)』, have special significance to Seoksong. Seoksong published 85 poems, 6 translated poems, 1 review, and 1 essay on『The Dawn of Civilization(Gye Byuk)』. This is far more than poems by other major poets(57 poems by Kim Uk, 48 poems by Kim So-Wol, 26 poems by Lee Sang-Hwa, and 10 leading poems) published in 『The Dawn of Civilization(Gye Byuk)』. Also, it is a considerable number which is the 2/3 of Seoksong's entire work. In addition, it is evident that Seoksong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Dawn of Civilization(Gye Byuk)』as he published 'commentaries' as a selector of 'readers literature competition' of 『The Dawn of Civilization(Gye Byuk)』. On the other hand, in 『Growth and Development(Saeng Jang)』, he presented 16 poetries, 2 reviews, and 5 prose. The number of presented work is far less than the ones published in『The Dawn of Civilization(Gye Byuk)』, but it has significance that it is a 'pure literary magazine' that Seoksong himself has personally presided it. Poetries or essays on poetry by Seoksong did not make great transfiguration during 『The Dawn of Civilization(Gye Byuk)』period or 『Growth and Development(Saeng Jang)』period.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at they expressed a completely new world of poetry in terms of time, because it was only within 1~2 years. However, if the two periods have to be classified, there may be a difference that expressed more comprehensive democracy-oriented view of literature from aiming for emotion-oriented life. Specially, during the『The Dawn of Civilization(Gye Byuk)』period, the enlightenment that the magazine 『The Dawn of Civilization(Gye Byuk)』displayed Seoksong's view of literature, and dur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Saeng Jang)』, he strengthened the 'theory of democratic literature' as his own literature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