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시경관 연구 (The Study on Misu Heo-Mok(眉叟 許穆)’s Hermeneutics of Shihjing)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2.06
27P 미리보기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시경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48권 / 9 ~ 35페이지
    · 저자명 : 차영익

    초록

    미수 허목은 양란 이후 피폐해진 조선사회에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기 위해 유학의 본래적 의미로 돌아가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문제의식이 상고적 경향으로 나타난다. 그는 사회질서의 수립을 위해 육경을 하나의 전체적인 체계로 보고 『시경』, 『서경』, 『역경』, 『예경』, 『춘추』, 『악경』의 각 기능과 특징을 요약하여 「경설」 20편의 논설문을 작성한다. 따라서 육경과 각 경전은 부분과 전체의 유기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그의 경학관의 체계를 이룬다. 허목은 성리학적 시 해석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본성과 감정의 관계에 대해서, 본성은 순수하고 지선한데 이러한 본성이 외물에 자극되어 감정이 생긴다고 보았다. 따라서 시는 단순한 정을 읊는 것이 아닌 ‘성정의 올바름’을 읊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 허목은 시의 기능을 풍자로 보고 통치자의 정치 행위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았다. 또 백성들이 풍자한 내용을 잘 살피는 것을 통치자의 핵심적인 덕목으로 보고 있다. 백성들의 풍속을 잘 살펴야 한다는 것은 풍자를 중시하는 『모시』의 전통과 맞물린다. 이것은 허목이 교화를 중시하는 성리학적 『시경』 해석을 기본적인 전제로 하면서도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e 17th century, when Heo Mok lived, was a time when a new order was urgently need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economic life of the people became impoverished, and the social order was also confused. Based on this theoretical basis, the 17th century can be said to be the stage of Bungdang politics(朋黨政治) in which political issues are applied to practical problems based on the theory of each school. On the other hand, Neo-Confucianism did not play a proper role in overcoming the problems of reality that were impoverished in society as a whole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Byeongja War in 1636. Therefore, it was a time when the debate and confrontation intensified between Seoin-line(西人系) scholars who wanted to solve real problems by further developing the logic of Confucianism and Namin-line(南人系) scholars who opposed it and tried to solve social problems with their own theories. In this historical background, Heo Mok was in charge of one of the pillars of the Yesong thesis(禮訟論爭).
    Heo Mok saw Yukgyeong as a coherent system and tried to solve the problems of Joseon at that time. he tried to find the original meaning of Confucius Confucianism. Therefore, he tried to restore the principles of Joseon's reign at the time, paying attention to the function of satire that emphasized the interpretation of the model, although he followed the poetry collection, which was the interpretation of Ju-hee.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nature and emotion, he tried to inherit the Neo-Confucian system of neisheng-waiwang 內聖外王(inner-sageness and outer- kingliness) by accepting Ju-hee's theory of nature and emotion as it 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