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관식의 시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The Meaning of Hometown in the Poem of Kim Gwan-si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3.06
24P 미리보기
김관식의 시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53호 / 75 ~ 98페이지
    · 저자명 : 김현정

    초록

    김관식의 시에 나타난 고향 이미지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1952년에 발간된 처녀시집 『낙화집』에 나타난 고향의 이미지는 주로 전란으로 인한 고향상실을 치유하기 위한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제1부 서정소곡(抒情小曲)의 연작시에 ‘무덤’, ‘죽엄’ 등의 전쟁의 상흔을 대변하는 기표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제2부 한시에는 전시의 슬픔과 그 슬픔을 상쇄시키는 아름다운 고향 이미지와 이상향의 모습을 절묘하게 배치하여 ‘중용’의 미를 표출하고 있다.(「춘하추동(春夏秋冬)」, 「추월사(秋月辭)」 등)둘째, 1956년에 출간된 『김관식시선』에는 고향의 이미지가 고향에 대한 부분적인 기억을 살리거나 시인이 꿈꾸는 무릉도원의 모습으로 드러난다는 점이다. 시인의 기억 속에 내재된 아름다운 고향의 편린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김관식이 꿈꾸던 ‘귀거래사’풍의 무릉도원과 자연에의 귀의 방식으로 표출되기도 한다.(「모정」, 「귀거래사」 등)셋째, 1960년대 이후의 그의 시에 담긴 고향 이미지는 가난한 현실에 만족하는 안분지족(安分知足)의 형태로 형상화된다는 점이다. 옛 선비처럼 이로움(利)의 관점이 아닌 마음을 맑게 하고 욕심을 적게 갖는 ‘청심과욕(淸心寡欲)’의 모습이 주를 이루고 있다.(「가난 예찬」, 「융동(隆冬)의 서(書)」 등)따라서 김관식의 시에 투영된 고향 이미지는 선명하게 부각되고 있지 않지만, 전쟁으로 인한 고향상실의 슬픔을 치유하는 방식으로, 시인이 꿈꾸는 유토피아적 고향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Hometown image shown in the poem of Kim Gwan-sik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nd.
    First, the virgin collected poems Nakhwajip(『낙화집』) published in 1952 shows image of hometown that had been lost due to war and exertion to heal the loss. Poem produced in collaboration(연작시), which is the Part 1 of Seojeongsogok(서정소곡), includes the signifiers that represent the scars of war such as ‘grave(무덤)’, ‘jukeom(죽엄)’ etc., and Hansi(한시), in Part 2, express the beauty of ‘moderation(중용)’ by exquisitely placing the beautiful image of hometown and the image of utopia to set off the sorrow and grief in the time of war.(「Chunhachudong(춘하추동)」, 「Chuwolsa(추월사)」 etc.)Second, in the collected Poems of Kim Gwan-sik, the image of hometown appears as a partial memory of his hometown or as mureungdowon(무릉도원) which he craves for. ‘Gwigeoraesa-style(귀거래사풍)’ mureungdowon(무릉도원) and the form of returning to nature are expressed in his poems. (「Mojeong(모정)」, 「Gwigeoraesa(귀거래사)」 etc.)Third, the image contained in his hometown since the 1960s is expressed in the form of ‘Anbunjijok(안분지족)’ meaning 'satisfied at the reality of poverty'. It also shows the image of ‘Cheoagshimgwayok(청심과욕)’ just like a seonbi(선비) who tried to clear the mind with less greed rather than seeking the benefit (「Gananyechan(가난예찬)」, 「Yungdongui Seo(융동의 서)」 etc.)Therefore, We cannot say the image of hometown is clearly shown in Kim Gwan-sik's poem but it is expressed as a way to heal the grief of the loss of the hometown due to war and a manner revealing the utopian hometown which he dreamed o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