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동엽 시의 공간적 특성과 심상지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maginative Geography of Shin Dong-Yeop’s Poetr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1.03
38P 미리보기
신동엽 시의 공간적 특성과 심상지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39호 / 216 ~ 253페이지
    · 저자명 : 이경수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신동엽 시의 공간적 특성에 주목하여 신동엽의 시가 심상지리를 구축하는 방식을 살펴보는 데 있다. 신동엽의 시에서는 인물을 통해 공간 및 장소의 심상지리를 구축하는 방식을 주로 활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특성은 서사성을 시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인 신동엽 시의 언술적 특성과도 관련된다.
    신동엽 시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으로 우선 주목해야 하는 것은 대립적 공간 표상의 출현이다. 근대 도시와 원시의 생명력을 지닌 자연이 가장 두드러진 대립적 공간 표상으로 그의 시에 나타난다. 신동엽의 시는 인물 형상과 인물들 사이의 관계를 통해 특정 공간의 심상지리를 구축하는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도시와 자연에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신동엽의 시에서 근대적 도시 공간은 양가성을 지닌 공간으로 그려진다. 화려한 도시의 이면에 자리 잡고 있는 도시 빈민의 모습을 형상화함으로써 도시 공간의 부정적 속성을 드러내는 한편, 새로운 민중 형상으로 도시 노동자를 발견함으로써 도시가 지닌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하기도 한다. 일용직 노동자, 창녀, 시골에서 상경한 소년 등이 도시 빈민의 구체적인 형상으로 등장하며, 공장 노동자, 신문팔이 소년 등이 건강한 노동자의 형상으로 등장한다. 신동엽의 시는 이들이 구축한 도시의 심상지리를 통해 근대 도시의 부정성(否定性)과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신동엽의 시에서 도시의 대립적 표상 공간으로 등장하는 자연은 생명력을 지닌 이상적 공간으로 형상화된다. 그가 인물 형상을 통해 구축하고 있는 자연 공간의 심상지리는 귀수성의 세계를 형상화한 것이다. 신동엽의 시가 구축하는 자연 공간에서 등장하는 민중 형상은 그가 상상한 ‘전경인’의 모습에 가까운 것으로 아사달과 아사녀로 대표되는 민중 주체이다. 이들은 생명의 근원으로서의 대지(大地)에서 새 역사를 일굴 주체로 형상화된다. 또한 동학 혁명과 4⋅19 혁명 등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기념비적 역사의 장소가 역사적 현장의 인물들과 함께 호명되는데, 이때 가장 비중 있게 호명되는 인물이 무명(無名)의 민중 주체들이다.
    신동엽의 시는 도시 빈민과 노동자, 무명의 민중 주체들을 형상화함으로써 도시와 자연이라는 대립적 공간 표상에 새로운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심상지리를 구축한다. 이는 정부 주도의 근대화가 한창 진행되던 1960년대에 신동엽의 시가 구축한 탈근대적 공간의 심상지리로서 새롭게 평가받을 만하다. 그가 주목한 도시 빈민과 도시 노동자의 형상은 이후 1970∼80년대 민중시, 노동시로 계승되며, 그가 공들여 형상화한 자연의 유토피아는 1990년대의 생태시로 계승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s imaginative geography was built in the poems of Shin Dong-yeop with a focus on its spatial characteristics. In his poems, Shin usually built imaginative geography for time and space through characters, which characteristic is related to another characteristic of his poetry that actively introduced narrativity in it.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n his poetry, the emergence of confronting spatial representations deserves the first notice. The most noteworthy confrontational spatial representations in his poems are modern cities and nature of primitive life force. In his poetry, Shin built imaginative geography for certain space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 figures and characters and thus granted a new meaning to cities and nature as cultural space.
    In his poems, modern city space is described as space of ambivalence. While revealing the negative attributes of urban space by embodying the poor behind the splendid facade of a city, he also paid attention to a new possibility of city by discovering city workers as a new aspect of people. Daily workers, prostitutes, and boys who came from country appeared as concrete figures of the poor in city, whereas factory workers and paper boys did as the concrete figures of healthy laborers. His poems show the negativity and possibility of modern cities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city built by them.
    Appearing as the space of confrontational representation against city in his poetry, nature is embodied as an ideal space with life force.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natural space built by him through character figures is the embodiment of the ‘Guysuseong’ world. The common people appearing in natural space built by his poetry are the independent people represented by ‘Asadal’ and ‘Asanyeo’ close to ‘Jeongyeongin’ in his imagination. They are embodied as the subjects to write a new chapter in history in Mother Earth, the origin of life. The historical landmarks related to such historical events as Donghak Revolution and 4⋅19 Revolution are called out along with the figures who were present in historical events. He placed the most significance on the independent people with no name in the process.
    In his poetry, Shin built imaginative geography as a new cultural space in the confrontational spatial representations of city and nature by embodying the urban poor, workers, and independent people with no name. Thus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post-modern space built in his poems in the 1960s when the government-led modernization movement was in progress deserves a new evaluation. While the embodiments of the urban poor and city workers he paid attention to succeeded in the Minjung and labor poetry in the 1970s and 1980s, the Utopia of nature he carefully embodied did in the ecological poetry in the 1990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