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적 기억과 문학적 기억으로서의 여성시- 독일의 힐데 도민과 한국의 고정희 시를 사례로- (Female Poetry as Cultural and Literary Memory -A Comparative Study of German Poet, Hilde Domin, and Korean Poet, Goh Jung He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문화적 기억과 문학적 기억으로서의 여성시- 독일의 힐데 도민과 한국의 고정희 시를 사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권 / 3호 / 145 ~ 176페이지
    · 저자명 : 채연숙

    초록

    본 논문에서는 문화권은 서로 다르나 정치적인 억압의 시대를 살아온 한국의 고정희 시인과 2차 대전 후 시대적 전환점을 돌아 나왔던 독일의 힐데 도민 사이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눈에 띄는지를 알아보고 그것을 문화적 기억과 문학적 기억이라는 기억 이론적 관점에서 추출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두 여성 시인들의 시들이 가지는 소재적 스펙트럼이 워낙 방대한 까닭에 문화적 기억과 문학적 기억이라는 본 논문의 논지에 적합한 시 텍스트들에 한정하여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들어 문화적 기억과 문학적 기억이 다양한 영역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이유는 시대로부터 억압을 받은 기억이 부정된 것으로부터(ex negativo) 다시금 의식의 수면으로 올라와 되살아나기 때문이다. 예컨대 고정희 시인에게서는 한국의 현대사, 즉 4∙19와 광주민주화 운동이, 힐데 도민에게는 홀로코스트를 피해 살아 온 22년간의 망명생활이 바로 그것이라 하겠다. 두 여성 시인들의 삶의 무게에 각인된 ‘충족되지 않은 망각’이 결국 새로운 시학의 탄생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문화적 기억으로서의 여성시를 사회참여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한국의 고정희 시인이 한국 민주화의 과정을 참담한 심정으로 절규하였다면 독일의 도민은 독일 전후 시대의 반성과 성찰의 의지를 시적 메시지로 전하고 있다. 이 두 시인들의 공통점은 여성으로서 시대를 뛰어넘는 포용과 관용을 보여줄 것을 오로지 시적 글쓰기를 통해 실천하고 있다는 것이다. 도민에게는 홀로코스트와 전후의 과거 극복이라는 긴 터널을 암시하는 것이라면 고정희 시인에게는 시인이 경험한 한국의 암담한 70년대와 80년대 전반을 구체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민은 망명생활 중 시를 쓰기 시작하여, 1960년대에 본격적으로 시집을 발표한 시인이다. 다시 말해서 도민은 나치라는 정치적 이념의 시작과 종말을 몸으로 경험한 망명세대이자 1960년대 정치적 사회적 격동기에 활동한 시인이다. 참여와 순수의 문학 논쟁이 활발하던 시대의 증인이기도 한 도민은 독일 서정시의 전통을 계승해 온 시인이라 할 수 있다. 도민은 시를 단순히 시사적 사건이나 경험적 현실의 표현수단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도민은 시는 “어슴프레 존재하다가 갑자기 의식 속에 떠오르는 것을 명명하고, 눈에 보이게 하고, 이야기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면서 동시에 “전달할 수 없는 것의 전달”을 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처럼 이 두 여성 시인들은 각기 오랜 기간 동안 시대적 아픔과 단절을 몸소 경험했을 뿐만 아니라 유년기로부터의 외부적 추방에서 생겨난 결여와 상처는 이들로 하여금 이러한 자신들의 과거 기억들을 시적으로 옮겨가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희 시인의 시와 힐데 도민의 시는 개인적 기억과 회상으로서의 문학적 기억, 그리고 특수한 시대와 특정한 민족의 문화적 기억으로서의 역할을 한편으로서는 여성시로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시대를 기록하는 역사시(Geschichtslyrik)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두 여성시인들이 시대와 문화를 뛰어넘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우리가 아우슈비츠에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우리는 그 사건, 그 범죄에 더 가까이 다가가게 된다”는 사실과 역사적 사건들은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점차 퇴색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역설적이게도 더 가까워지고 생생해진다는 점이다. 그 외에도 이 두 여성시인들의 시 텍스트를 통해 제시된 “문화적 기억은 망자 추모에 그 인간학적 본질이 있다”고 본다. 특히나 고정희 시인의 시는 시대를 희생한 망자들을 위한 시적 추모이자 살아남은 자들을 보듬는 위로시( Trostlyrik)라 하겠다. 이러한 흐름은 ‘아우슈비츠’연작에서 『지리산의 봄』, 그리고 『눈물꽃』에 이르기까지 그의 시 곳곳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고정희 시인과 도민의 시는 시대를 초월하여 험난한 고통을 이겨내고 그래도 살아 남아있는 문화적 기억의 실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여성으로서 시대를 살아남은 몸의 기억, 즉 몸의 흔적으로 시를 쓴다. 이것이 바로 문화적 기억으로서 여성적 글쓰기의 전형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Literature and memory cannot be separated since all literature is based on a writer's memory. Without memories there would be no literature. Therefore we can say that mankind's memory itself is literature. Poets write in order to be reconciled with their past memories. Contemporary humanities scholar are interested in how memory reconciliation is related to the past cultural and literary memories. Literature and cultural memory is directly related to collective cultures and identities. Thus, we need to look at how memory is formalized in literary and poetical contexts. This paper examines the similarities between German and Korean poetess in question. Poetry experiences a turning point after World War II in Germany, whereas Korean poetry changes under political pressure. In this paper two poetes' literary work, which exhibits various motifs that show both literary and cultural memory is examined.
    The reason cultural and literary memory has meaning is because of the negative (ex negativo) which surfaces the memories. For example, the poet Goh Jung Hee experienced Gwangju Democratic Movement (April 19th, 1980). Hilde Domin's memories come from surviving 22 years in captivity while hiding from the holocaust and it's aftermath. Both poets experienced events which were unforgettable and not fully recovered from their tragedies. In the end, they used poetry to express how they felt which gave birth to great poetry. This could also explain why the poetry produced today has none of the depth or timelessness of the poetry of the past; today's poetess have not experienced such historical tragedies. Goh Jung Hee represents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upheaval and her work depicts how miserable the changes were during the 1970s and 1980s in the Korean political democracy movement. In the case of Hilde Domin, in the 1960s the Germans wanted to atone their mistakes and past atrocities, which happened in the form of anti war rallies to which Hilde thought the social revolution has a will of its own. In her poetry she considered what would be the new function and role of the German peopl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poets is that they share a female poetic voice which shows the deep retrospection, forgiveness and embracing, unique to female artists. Hilde Domin wanted to overcome the Holocaust, in her writing a long tunnel represents the holocaust and the long road to recovery for the German people. In the case of Goh Jung Hee, the Korean darkness of the 70's and 80's is featured in her work.
    In addition, their work represents the different era's in which they both lived. As women they wanted to talk about the historical scars of both of their nations and the healing which is still occurring even today, this shows both a literal and cultural memory. In other words, the texts that they produce and are based on their own memories can serve as both a cultural and collective memory, their poetry acts as a voice telling the story of their respective eras told from a woman's perspective, making it unique. The suffering that they experienced left a hole in them and both felt that their writing could fill the void. Hilde Domin looked at her poetry as an attempt to reconcile herself whereas, Goh Jung Hee's poetry is based on Christian values and she focused on the redemption, desperation, anger and consolation using different motifs and methods of expression.
    Hilde Domin began her life as a poet and a fugitive while running from the Holocaust. It wasn't until the 1960s that she began publishing her poetry, which quickly brought her notoriety due to the subject matter. In other words, she experienced Nazi political idealism from the very beginning and was one of the few Jewish people fortunate enough to see the end. She worked during the social instability of the 60s. She had success with both social activist poetry as well as traditional German lyrical poetry. She did not think that poetry was merely a vehicle for a political message or reality in which people live. Hilde said of her poetry that it was the way in which she could clearly see the blurry images which popped into her consciousness, she would write her poems and the images would take on clarity. She felt that poetry was a medium which could never be fully delivered.
    From the origin of this thesis, of cultural and literary memory the two poetess suffered not only agony and isolation for a protracted amount of time, but also in childhood they also felt deficiency, pain and solitude which came from exile. Both of these act in conjunction to trigger their desire to create poetry, because literature is ultimately the place where the writer's memory is stored. Literature can reproduce and reconstruct memory by itself. Literature is the medium between personal and collective memory. Their poems play a role of the people's memory and recollection of a specific time in history, a specific national and cultural memory which in turn become "Geschichtslyrik".
    Furthermore, their sentiment transcends their era and reaches out to contemporary generation. "The harder we try to distance ourselves from Auschwitz the closer we get to the crime." Thus, as time goes by historical events do not diminish; paradoxically they become closer and more vivid. As women, they can approach past memories more sophisticatedly, enabling the meaning grow exponentially as cultural memories.
    Their poems show "that cultural memory can find humanity itself when people mourn for the dead". Particularly, Goh Jung Hee's poems mourn for those who sacrificed their lives(Trauerlyrik), as well as condolences for those who remain(Trostlyrik).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easily found in their poetry, such as Auschwitz, The Spring of Jiri Mountain, and Tearflower. In conclusion, their poetry transcends time and space, remaining relevant. They overcame the historical suffering, which is why their poems can be considered cultural memories. Finally, they wrote poems as women with all the scars, which had come from their sufferings, and that is how we can call their work cultural memories and the female vo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