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朝 道學詩의 展開 樣相 硏究 (A Study on Development of Semantic Category of Dohaksi in the Joseon Dynas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5.06
31P 미리보기
朝鮮朝 道學詩의 展開 樣相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사회예술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37권 / 1호 / 65 ~ 95페이지
    · 저자명 : 양훈식

    초록

    이 논문은 조선조 도학시의 전개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조 도학시는 도학자들이 도학을 사상적 배경으로 도학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다룬 도학시와 일상생활을 소재로 한 도학적인 내용을 시로 형상화 한 것을 말하며, 당시의 예술성과 송시의 교훈성이 조화되어 전개되는 양상을 띠고 있었다.‘도-도학-도학시’의 意味的 연변과 정신적 바탕에서는 儒學에서 말하는 도는 인간으로서 행해야 하는 마땅한 도리와 일상생활에서 이뤄지는 생로병사와 관련한 내용까지 포함하며, 도학은 타고난 덕성을 높이고, 묻고 배우는 데 이르기까지 알고 실천하는 행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었다. 조선조 도학자의 系譜와 도학시의 展開 樣相에서는 조선조의 도학자의 계보는 곧 도학시의 계보가 됨을 알 수 있다. 도학시는 문묘에 配享된 김종직을 위시하여 정여창, 서경덕, 이언적, 조식, 이황, 김인후, 송익필, 성혼, 이이가 쓴 시로 전개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들이 주를 이루지만 修己治人之學하는 이들도 도학자로 보아야 하며 도학자의 삶과 관련한 일상생활의 도를 읊은 내용도 도학시의 범주에 포함시켜야 함을 알게 되었다. 도학시 바탕으로서의 敎訓性과 藝術性의 調和에서는 조선조 초기에 송풍, 중기에 당풍, 이어 당풍의 예술성과 송풍의 교훈성이 調和되어 전개되는 양상을 보였다. 여기서 風格여부는 문제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도학시는 도학자들이 도학을 직접 주제로 한 교훈적인 것과 도학적인 내용을 題材로 형상화 한 시였다. 따라서 그 풍격은 문제가 되지 않으며 이들의 주제와 소재가 그 예술성과 교훈성이 조화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도학을 바탕으로 知行의 實踐을 형상화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moralist genealogy but also Dohaksi's semantic category. The study disclosed semantic changes and thought background of Do - Dohak - Dohaksi. Dohaksi had good harmony of both Tang style of art and Song style of lesson. The study could examine true character of Dohaksi of Hansi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Not only semantic changes but also spiritual base of ‘Do - Dohak - Dohaksi.’ was: ‘Do’ according to the Confucianism included duties that men should do at daily lives, and 'Dohak' put knowledge and conduct of ‘Jondeokseong Domunhak’ into practice. Genealogy of moralists in the Joseon Dynasty was said to be that of Dohaksi. In other words, genealogy of moralists included Kim Jong-jik who was enshrined at Munmyo, and Jeong Yeo-chang, Suh Gyeong-deok, Lee Eon-jeok, Jo Sik, Lee Hwang, Kim In-hu, Song Ik-pil, Seong Hun and Lee I. The ones who did Sugichiinjihak were also said to be moralists, and contents that described duties at daily lives concerning moralists' lives should be included in category of Dohaksi. Dohaksi in the Joseon Dynasty had thought background of Dohak that had wide semantic category of Ihak. And, Dohaksi harmonized not only Tang style of art but also Song style of lesson. Appearance and dignity were of no problem. Therefore, genealogy of Dohaksi was that of moralists, and Dohaksi in the Joseon Dynasty put literary knowledge and conduct into practice by using various kinds of subjects and top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