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 4․3 시의 그로테스크와 민중 미학 -2000년대 김경훈 시의 미적 특징과 그 의의- (The Grotesque and Popular Aestheticsof Jeju’s April 3 Poetry :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im Kyung-hoon’s Poetryin the 2000s and Its Significanc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3.05
22P 미리보기
제주 4․3 시의 그로테스크와 민중 미학 -2000년대 김경훈 시의 미적 특징과 그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93호 / 97 ~ 118페이지
    · 저자명 : 장인수

    초록

    김경훈은 1992년 『통일문학 통일예술』에 시를 게재함으로써 시인이 된다. 이 매체는 식민주의적 모순에서 기인한 죽임의 장치를 극복하고 민족 해방을 위한 살림의 상상력을 지향한다. 김경훈은 이러한 1980년대의 정치성을 제주 4․3 사건을 소재로 한 시에 적용한다. 2000년대 초에 그가 출간한 두 권의 시집에서 그는 가해자와 살해당한 자(유령)를 화자로 등장시킴으로써 제주 4․3 사건의 진실에 다가가고자 한다. 그의 시는 지나치게 폭력적이고 노골적이었다. 가해자는 살인의 유희에 광적으로 몰두하고, 피해자는 그 독점적 폭력의 현장을 지켜봄으로써 자기의 무기력함을 확인해야 했다. 신체를 격하하고 사체를 훼손하는 그의 그로테스크 미학은 사건의 진실을 은폐하려고 한 국가적 억압의 소산이다. 이른바 ‘억압된 것의 회귀’인 셈이다. 2000년대 후반에 그의 시는 더 민중적인 미학에 접근한다. 그는 제주 4․3 사건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의 사연을 시로 쓴다. 그는 그들의 ‘이름’을 자기의 시에 기입함으로써 그들의 고유성을 확인해주려고 한다. 그는 제주 4․3 사건의 잃어버린 시간을 ‘원점’으로 확인함으로써 살아남은 사람들의 삶의 근거를 되찾아주려고 한다. 그는 살아남은 사람이 ‘의로운 삶’을 살았다는 점을 강조한다. 2012년에 발표한 서사시에서 그는 그동안의 제주 4․3 시를 종합한다. 이 서사시는 사건의 흑막으로 미국을 지목하는 반미적 플롯을 취하고 있다. 그는 제국주의의 욕망에 맞서 탈식민주의적 주체로서 죽는 영웅적 인물을 제시한다. 이 시가 2000년대 이후의 반미․반기지 운동의 연쇄 속에서 제출되었다는 점이 이 시의 문학적 완결성보다 더 중요한 지점이다. 우리는 이 지점에서 1980년대 정치적인 시의 지역적 변용과 계승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Kim Kyung-hoon became a poet in 1992 by publishing a poem in Unification Literature and Unification Arts. This medium aims to overcome the mechanism of killing caused by colonial contradictions and to aim for the imagination of reviving for national liberation. Kim Kyung-hoon applies this politics of the 1980s to poetry based on the Jeju April 3 incident. In two books of poetry he published in the early 2000s, he tries to approach the truth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by featuring the perpetrator and the murdered (ghost) as speakers. His poetry was too violent and blatant. The perpetrator was enthusiastically immersed in the play of murder, and the victim had to confirm his lethargy by watching the scene of the exclusive violence. His grotesque aesthetics of downgrading the body and damaging the body are the products of national oppression that tried to cover up the truth of the event. In other words, it is the so-called “return to the repressed.” In the late 2000s, his poetry approaches a more popular aesthetic. He writes poems about the stories of those who survived the Jeju April 3 incident. He tries to confirm their singularity by putting their ‘name’ in his poem. He tries to regain the basis for the lives of the survivors by confirming the lost time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as a “original point.” He emphasizes that the survivor lived a ‘righteous life’. In the narrative poem published in 2012, he synthesizes his own 4․3 poems of Jeju. This narrative poem takes an anti-American plot that points to the United States as the dark side of the incident. He presents a heroic figure who dies as a decolonist subject against the desires of imperialism. The fact that this poem was submitted in a series of anti-American and anti-base movements after the 2000s is more important than the literary completeness of this poem. At this point we can see the continuity of political poetry in the 198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