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濂洛風雅』 讀後詩에 나타난 道學詩의 典範과 詩想의 계승 양상 (The inheritance pattern of Dohak(道學) poetry’s model and poetry ideas shown in book-reading poetry of Yeomrakpunga (濂洛風雅)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3.08
30P 미리보기
조선 후기 『濂洛風雅』 讀後詩에 나타난 道學詩의 典範과 詩想의 계승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40권 / 33 ~ 62페이지
    · 저자명 : 김기엽

    초록

    『濂洛風雅』는 金履祥(1232~1303)이 송대 성리학자의 운문을 選集한 자료이다. 『濂洛風雅』가 조선에 유입·간행된 이후로 후기까지 꾸준히 창작된 讀後詩는 조선 문인들에게 『濂洛風雅』가 애독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그들의 사유와 창작 경향에 많은 영향을 끼쳤음을 나타낸다.
    『濂洛風雅』를 베껴 오거나 借讀했다는 기록을 비롯하여 후기의 문인 朴泰茂와 梁進永이 지은 讀後詩를 통해, 그들에게 『濂洛風雅』에 수록된 시들이 일종의 典範이자 道를 실은 文으로 인식되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강학을 위해 모인 문인들이 『濂洛風雅』를 강독하고 그 풍격을 추구했던 정황은 講會 때 창작된 趙文命과 鄭宗魯의 讀後詩에 드러나 있다.
    『雅誦』이나 朱子詩의 주해서처럼 특정 작가나 작품 選集類와는 달리, 송대 성리학자 48인의 작품을 모아 엮은 『濂洛風雅』는 왕명에 의해 편찬·반포되거나 별도의 주해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조선 말까지 增刪을 거치며 광범위하게 유통되었다. 이는 송대 여러 도학자의 시를 고루 본받고 도학이라는 틀 안에서 학문과 사상을 文에 담아 표출하고자 했던 문인들의 作詩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濂洛風雅』를 읽은 조선 문인들은 시인의 시와 도학자의 시를 변별하고자 한 『濂洛風雅』의 취지를 뒤따랐고, 이에 그 독후시는 송대 성리학자들의 原詩에 담긴 사상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게 되었다. 原詩를 따라 도학적 사유를 추구한 조선 문인의 시상은 도학자의 시라는 범위 내에서 크게 심성 수양이라는 내적인 측면과 경물 관조라는 외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李栽·柳尋春 등은 『濂洛風雅』 原詩에 담긴 성정 수양 및 경계의 시상을 계승하여 이를 독후시에 반영하였고, 張瑱·李光靖 또한 축융봉과 매화를 소재로 하여 자연 경물을 관조하며 유유자적한 삶을 추구했던 原詩의 사유를 본받았다. 이 외에도 시적 화자가 머물러 지내는 장소와 특유의 운치를 매개로 도학적 시상을 구현한 독후시가 있다. 『濂洛風雅』 讀後詩를 대상으로 조선 문인이 추구하는 作詩의 典範을 비롯하여, 송대 성리학자의 詩想이 조선 문인의 독후시에 어떻게 계승되는지를 살폈다는 데에 작은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Yeomrakpunga (濂洛風雅), written by Jin Lu Xiang (金履祥, 1232-1303), is a collection of verses of Neo-Confucians during the Song Dynasty. After Yeomrakpunga was introduced and published in Joseon, book-reading poetry was continuously creat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shows that Yeomrakpunga was much loved by Joseon’s literati, and greatly influenced their thoughts and creative tendencies.
    Through records of Yeomrakpunga being read by copying or borrowing it from others, and through book-reading poetry written by Park Tae-Mu and Yang Jin-Young (literati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 can conclude that the poems in Yeomrakpunga were considered as a model by literati, and that they considered these poems to be sentences containing The Dao (道, the right way humans ought to behave in society and in their lives). Additionally, Jo Mun-Myung and Jung Jong-Ro’s book-reading poetry demonstrates that literatus read Yeomrakpunga together during their education and pursued its style.
    Unlike anthologies that contain specific authors’ works, such as the Asong (雅誦, a partial collection of verses and poems written by Zhu Xi) or a selection of Zhu Xi’s poems, Yeomrakpunga contains the works of 48 Neo-Confucians from the Song Dynasty. Although it was not compiled or distributed by royal order and it does not have detailed annotations, it was widely spread through proofreading and editing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is reflects the intention of the literatus who imitated the poetry of various Dohak literatus during the Song Dynasty and sought to express their studies and ideas in sentences within the framework of Dohak (道學, Neo-Confucianism of the Joseon dynasty).
    Joseon’s literati who read Yeomrakpunga followed its character in distinguishing the poet’s general poetry from the poetry of Dohak literatus. Accordingly, their book-reading poetry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from the ideas contained in the original poetry of Neo-Confucians during the Song Dynasty. The poetry idea of Joseon literati who attempted to convey Dohak’s message in original poetry is largely divided into the internal aspect of cultivating one’s mind and the external aspect of contemplating the scenery. Lee Jae and Ryu Shim-Chun inherited the poetry idea of mindfulness and cultivation of one's mind. Jain Jin and Lee Gwang-Jung imitated the idea from original poetry, which pursued a leisurely life while contemplating nature using Chug-Yungbong (a peak in Southeast region in South Korea) and plum blossoms.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lso book-reading poetry, which embodies the poetry idea of Dohak through the place where the poetic speaker stays and its unique atmosphere.
    On the basis of book-reading poetry of Yeomrakpunga, the aim of this thesis has been to clarfiy the poetry model literatus of the Joseon Dynasty pursued, and how the poetry ideas of Neo-Confucians of the Song Dynasty were inherited to the book-reading poetry written by literatus of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