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현승시의 ‘어둠・청각심상’ 고찰 - 중기시의 양상과 후기시의 변모를 중심으로 (Study on ‘Darkness’ and Acoustic Image of Kim Hyunseung’s Poetry - Focusing on poetry’s aspects of middle period and changes of end period)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3.06
21P 미리보기
김현승시의 ‘어둠・청각심상’ 고찰 - 중기시의 양상과 후기시의 변모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7권 / 2호 / 5 ~ 25페이지
    · 저자명 : 김인섭

    초록

    본고는 김현승 시에서 시의식이 심층부를 표상하는 ‘어둠’과 그 속에 자주 등장하는 청각심상의 양상과 그 변모과정에 주목하였다. 그의 시에서 어둠은 시간의경과에 의해 ‘빛’이 소멸된 세계이기도 하고, 밝은 ‘빛’이 무한히 넘쳐나서 생긴 것이기도 하다. ‘밤’은 절대자 ‘당신’을 지칭할 때도 있다. ‘당신’은 빛의 세계에서 사라지는 것들을 밤의 광채 속에 담아두는 역설적 섭리의 주관자로 제시된다. 청각심상은 빛이 사라진 어둠 속에서 볼 수 있는 감각인데, 영혼과 신앙을 위하여 ‘아름답게 실명(失明)’한 상태에서 귀로 듣는 소리이다. 중기시의 화자는 영적 개안(開眼)을 얻어 절대자의 소리, ‘알 수 없는 곳으로부터 들려오는 하나님의 말씀(God’s disembodied words)’을 감득하고자 한다. 그 음성은 주로 ‘종소리’로 비유되고, ‘먼뎃 소리’, ‘먼 나라의 말소리’ 등으로 직접 지칭되기도 한다. 시인은 어둠 속의 청각심상을 통하여 신과의 교감을 이루고,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기도 한다.
    중기시 이후 김현승 시인의 고뇌는 신의 피조물로서 절대자의 음성에 절망하거나, 그것을 ‘고독’의 시의식으로 대체하고자 한 데서 비롯된다. 신을 떠난 후기시에서는, 어둠이나 청각의 성격도 달라진다. 실명을 통한 청각적 개안이나 ‘종소리’를거부하고, 이제부터는 자신의 시를 통하여, 어둠 속에 빛을 비추기도 하고, 자신의고통스러운 시가 스스로 울림을 일으키게 한다. 고독의 극한에 이르러서는 청각대신 촉각이 등장하기도 한다. 자신의 고독은 어둠 속에 빛을 발하는 ‘보석’이기보다 어둠의 흙속에서도 썩지 않는 ‘순금’ 같은 것이 되고자 하며, 자신의 시는 절대자의 ‘종소리’가 아니라 ‘금빛 저녁종’이 되어 스스로 울리기를 시도한다. 그러나 그의 시는 ‘뱃고동 소리’를 배경으로 지닐 뿐이며, 그의 고독추구는 영혼의 신음소리가 끊어질 듯하며, 시인 자신은 육신의 가랑잎 소리만 낼 뿐이다.
    마침내는, 그의 시가 더 이상 빛을 발하지도 울리지도 못하게 되자, 신에게 귀의한다. 그의 마지막 시들은 다시 신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빛과 어둠의 상호조화 속에서 절대자의 음성에 리듬을 맞춰 시를 쓸 수 있게 되었다. 그의 시에서 ‘빛’과‘어둠’은 조각들처럼 서로 부딪치며 “커다란 하나의 음악”이 되어 인간존재의 불완전함을 노래해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frequent use of an acoustic image within the darkness which is often found from Kim Hyunseung’s poetries. The acoustic sense from his poetries is the sense mainly made from the darkness where the light disappeared,and from here, the poetic narrator sees the new world.
    The anguish of the poet Kim comes from a desire to hear ‘God’s disembodied words heard from an unknown place’ as a creation of God, or despair from this hearing or wants to substitute this to the poetic spirit of ‘loneliness’. The fact to focus concerning such is that senses of ‘brightness’ and ‘darkness’ are consistently maintaining antagonistic relationship despite of his poetic changes, and the dark world accompanies the acoustic sense.
    From the middle period poetries, the ‘bright eyes’ are going blind in the darkness,but newly opens up with the ‘ears’. It tries to hear God’s disembodied words with these ‘newly opened’ ears. At this time, the darkness is created as bright ‘light’ is unlimitedly overflowing, and a world where ‘light’ has disappeared as time passes by. Anyway, the poet tries and even confesses the communion with god in this darkness.
    However, in the end period of poetries when he left the God, the characteristics of darkness or acoustic senses become different. First of all, he intentionally resists God’s disembodied words. From here, he sometimes lights the darkness through his own poetries and his painful poetries make own reverberation. But the acoustic sense became metastasized to the tactile senses as overcoming the darkness where new eyes could be opened.
    In the end, he is devoted to God while his poetries could not glimmer nor reverberate. His end period poetries recover a relationship with God, and desire for religious salvation within harmonic interaction of light and dark. From his poetries,‘light’ and ‘dark’ collided each other and became the ‘one big music’ to sing incompleteness of human pres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