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00년대 서정시의 전개와 도시 표상 - 신용목의 시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Lyric Poetry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City in the 2000s — Centering on the poetry of Sin Yongmok)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4.08
26P 미리보기
2000년대 서정시의 전개와 도시 표상 - 신용목의 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예창작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창작 / 23권 / 2호 / 11 ~ 36페이지
    · 저자명 : 김중일

    초록

    ‘서정성’은 2000년대 미래파의 출현 이후 가열된 소위 미래파-신서정 논쟁에 중요한 쟁점이었다. 전위적인 시를 선보였던 동세대 미래파 시인들과 차별되며 시인 신용목은 2000년대 신서정의 새로운 주자로 주목받았다. 신용목은 주로 서정시인으로 호명받았지만 관념적 언술에 대한 천착 그리고 자연에서 도시까지 횡단하는 시적 주체의 활약 등의 특징적인 개성을 보였다. 이런 점은 2000년대 미래파와 서정시의 특장을 공히 아우르는 개성이기도 하다. 신용목은 동세대들과 함께 2000년대 한국시의 다양성 특히 서정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전망하는데 의미 있는 포지션을 점했다. 바야흐로 대다수가 도시 공간을 통해 내면을 투영하는 2000년대라는 서정시의 전환기 속에서 세대론적으로 1970년대 출생하였고 농촌공동체 속의 유년 경험을 깊이 공유한 시인 신용목은, 초기작에서 주로 자연물을 개성있는 서정성으로 반영하였다. 동시에 2000년대 이후 실질적인 삶의 공간이었던 ‘도시’로 서정적 주체의 이동을 선두에서 감행했다. 그런 점에서 신용목은 한국 서정시의 계보에서 도시화 이전과 이후의 경계에서, 자연과 도시 공간을 잇는 ‘가교 세대’로 볼 수 있다. 서정적 주체가 자연에서 도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신용목이 각 시기마다 시 속에서 점차 도시적 표상들을 수용하는 방식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으며, 그 과정에서 2000년 서정시의 전개의 특징적인 한 단면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가 보편적인 삶의 공간이 된 2000년대 이후에도 유독 서정시만은 주로 자연물을 서정적 정념의 근원이자 배경으로 하는 내면화를 전통으로 삼아왔으며 그 자체가 장르적 특징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상대적으로 신용목은 2000년대 후반에 들어 제2시집까지 보여주었던 전통적인 서정시의 형식을 기반하여 꾀하던 방법론적 모색 이상의 전격적인 변화를 선보였다. 이 전환기에 서정시의 중요한 방법론적 기제로 작용한 것이 도시적 표상의 적극적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Lyricism' was an important issue in the so-called Futurism-Neo-Lyricism debate that heated up after the emergence of Futurism in the 2000s. Distinguished from his futurist contemporaries who presented avant-garde poetry, the poet SinYongmok was recognized as a new leader of Neo-Lyricism in the 2000s. Although he was primarily labeled as a lyric poet, he showed characteristic traits such as his mastery of conceptual language and his poetic subject's movement from nature to the city. It's a personality that's part 2000s futurism and part lyrical poetry. Along with his contemporaries, SinYongmok was in a significant position to foresee new possibilities for the diversity of Korean poetry in the 2000s, especially lyric poetry. In the transition period of lyrical poetry in the 2000s, when most people project their inner lives through urban spaces, the poet, who was born in the 1970s and deeply shared his childhood experience in a rural community, mainly reflected natural objects in his early works with a unique lyricism. At the same time, he spearheaded the movement of lyrical subjects to the “city” as a practical living space since the 2000s. In this sense, SinYongmok can be seen as a 'bridge generation' in the genealogy of Korean lyric poetry, bridging the gap between pre- and post-urbanization, between nature and urban space. As the lyrical subject moves from the natural to the urban,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SinYongmok gradually embraces urban representations in his poetry in each of these periods, and in doing so, we can see a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lyric poetry in the 2000s. Even after the 2000s, when cities became universal living spaces, only lyric poetry has traditionally internalized the natural world as a source and setting for lyrical sentiment, and this itself has been recognized as a genre feature. In contrast, in the late 2000s, SinYongmok made a drastic change beyond the methodological explorations based on the traditional lyric poetry form that he had shown until his second collection. It can be argued that an important methodological device of lyric poetry in this transition period was the active reflection of urban represent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창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