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는 시, 읽는 시, 듣는 시 - 드라마 <절정>에 나타난 이육사 시의 소통구조와 그 함의 (Poetry to See, Poetry to Read, Poetry to Listen to -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Yi Yuk-sa's Poetry and Its Implications in the Drama Juljung)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4.02
38P 미리보기
보는 시, 읽는 시, 듣는 시 - 드라마 &lt;절정&gt;에 나타난 이육사 시의 소통구조와 그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82호 / 293 ~ 330페이지
    · 저자명 : 최호영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드라마 <절정>을 중심으로 이육사의 시가 향유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드라마의 서사구조 속에서 그것이 지향하는 의미를 고찰하는 데 있다. 드라마 <절정>(2011)은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육사의 삶과 활동을 대중들에게 알리고자 한 광복절 특집으로서, 이육사의 문학을 새로운 각도에서 접근할 여지를 안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절정>에서는 텔레비전 드라마라는 매체 및 장르 특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상황과 맥락에 따라 보고, 읽고, 듣는 복합적인 매체언어를 구현함으로써 이육사의 시에 다양한 방향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환기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드라마에서는 이육사와 구분되는 ‘또 다른 나’, 그리고 정신적 동지인 윤세주를 특정한 청자로 설정함으로써 그가 항일무장투쟁 과정에서 느끼는 내적 갈등, 정치적 이념, 강인한 의지 등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드라마에서는 극적 상황에 걸맞은 다성성에 따라 이육사의 시를 연출함으로써 시적 의미의 잉여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는 주로 이질적 목소리의 도입과 대비적 상황 연출, 다차원적 의사소통의 구현과 다층적 맥락의 형성 등으로 나타난다. 이런 점들은 이육사의 삶과 활동에 시청자들이 몰입하게 만드는 요소가 되면서도, 작품 외부의 실증성을 고려하거나 정전화된 작품의 경향성에서 벗어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 글은 이육사의 삶과 작품이 문화콘텐츠 속에서 보다 풍부하게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way in which Yi Yuk-sa’s poetry is enjoyed, focusing on the drama Juljung, and to consider its intended meaning within the drama's narrative structure. The drama Juljung effectively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and genre of a television drama and implements a complex media language of seeing, reading, and listening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ontext, thereby calling attention to the need to approach Yi Yuk-sa’s poetry from various directions. More specifically, the drama sets the ‘other me’, who is distinct from Yi Yuk-sa, and his spiritual comrade Yoon Se-ju, as specific listeners, thereby three-dimensionally expressing the internal conflict, political ideology, and strong will that he feels during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t the same time, the drama realizes the surplus of poetic meaning by directing Yi Yuk-sa’s poetry according to the polyphony appropriate for the dramatic situation. This is mainly manifest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heterogeneous voices and creation of contrasting situations, implementation of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and formation of multilayered context. These factors become elements that make viewers immerse in Yi Yuk-sa’s life and activities, while also raising the need to consider veridicality outside the work or break away from the tendency of canonical works.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seeks ways to utilize Yi Yuk-sa’s life and works more abundantly in cultural con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