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광수와 ‘국민시’ (Lee, Kwang-Soo and ‘Kookminsi’(國民詩))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8.02
37P 미리보기
이광수와 ‘국민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22권 / 305 ~ 341페이지
    · 저자명 : 최현식

    초록

    일제말 ‘국민시’는 식민지 문학인 동시에 제국주의 문학이었다. 상위개념으로서 ‘국민문학’은 조선인들의 황민화적 개조가 식민 상황의 극복과 일본 ‘국민’으로의 재탄생, 그리고 세계사적 지위의 확보에 필요한 제일조건임을 매우 강조하였다. 말하자면 ‘국민문학’은 주체와 민족의 개조, 그를 통한 힘센 문명/국가로 발돋움하고자 하는 허구적 욕망의 표현체였다. 이 글은 이광수의 이런 욕망을 주체의 영혼과 정서가 직접 발현되는 ‘국민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이광수 ‘국민문학’의 전제로서 ‘정신의 혈통’에 주목하였다. 그에게 ‘정신의 혈통’은 민족/국가의 동일성과 정통성을 확인하는 핵심기제이다. 『소년』 시대 ‘대황조’(단군)의 정신을 국민화의 원리로 삼았던 그는 메이지 시대에 새롭게 가치화된 ‘일본정신’을 새로운 주체 및 국민 탄생의 원리로 수용한다. 일본의 전통시가 와카(和歌)의 창작 및 번역은 이를 위한 회심의 글쓰기였다. 우리는 와카가 일본의 민족적·국민적 동일성의 확보를 위해 메이지 시대 새롭게 가치화된 ‘만들어진 전통’이며, 그 핵심에 천황의 절대화/심미화가 자리잡고 있음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춘원의 와카는 이런 원리에 충실한 애국가이자 충군가였다. 한편 춘원의 ‘국민시’가 황민화적 개조, 바꿔 말해 힘센 국가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특별히 주목한 대상은 ‘청년’이었다. 총력전의 상황은 조선인 전체의 병사화, 그 중에서도 ‘청년’의 희생과 죽음을 필연적으로 요구했다. 춘원은 ‘청년’의 멸사봉공(滅私奉公)이 조선인의 황민화와 민족의 영속성에 가장 효과적인 방편임을 인식하고, 이들의 전쟁 동원에 총력을 기울인다. 그는 ‘청년’의 죽음을 허구적․소모적이기는 커녕 일본 국민으로 거듭나는 주체의 전환이자 유한한 삶을 초극하는 실존적 행위임을 강조하기 위해 ‘보살행’으로 심미화한다. 그러나 이것은 예정된 죽음을 앞둔 청년의 고뇌와 공포, 삶의 욕망 등 인간의 원초적 내면을 은폐하고 삭제하는 정신의 조작이라는 점에서 매우 퇴행적이며 폭력적이다. 청년들은 ‘죽음’을 통해 겨우 ‘국민’으로 등재되었지만, 그 순간 보편적 인간이기를 거부당한 것이다.

    영어초록

    ‘Kookminsi’ in the late period of the Japanese rule of Korea was colonial literature and imperialist literature at the same time. As a upper level concept, ‘kookminmunhak’ strongly advocated that making Koreans Japanese was the primary condition necessary to overcome colonial sit- uations, rebirth as Japanese ‘nationals,’ and advancement to the status in world history. In other words, ‘kookminmunhak’ was a means to ex- press false desire to grow into more powerful civilization/nation through alteration of the subject and the people. This essay examines such kind of desire of Lee Kwang Soo by way of ‘kookminsi’ directly embodying soul and emotion of the subject. First of all, he paid attention on ‘spir- itual lineage’ as a foundation for ‘kookminmunhak.’ For him, ‘spiritual lineage’ was a key mechanism to identify identity and orthodoxy of the people/nation. He accepted ‘the Japanese spirit’, valued newly in the Meiji period, as the principle of the birth of new subject and nation. Creation and translation of Japanese traditional poetry waka(和歌) was satisfactory writing for this purpose. It should be noted that waka was a newly ‘made tradition’ of value in the Meiji period to seek national and ethnic identity of Japan, and absolutization/beautification of the Emperor of Japan was at the center. Lee Kwang-Soo’s waka was a national anthem and song of loyalty to the king fully in conformity with this principle. In the meantime, his ‘kookminsi’ chose ‘the youth’ especially to realize the desire to become Japanese, namely, grow into more powerful nation. He used all this resources to mobilize young Korean people for war, recognizing that self-annihilation of ‘the youth’ for the sake of the country was the most effective means for Koreans to become Japanese and perpetuity of the people. He beautified the death of ‘the youth’ as ‘a Bodhisattva’s behavior,’ for the purpose of empha- sizing it as transformation of the subject being reborn as Japanese and existential behavior transcending limited life, rather than being false and consumptive. However, this is highly regressive and violent in that it was a mental manipulation to conceal and delete basic human emotions such as fear, agony, and desire to survive of young people, who were doomed to die. They were finally registered as a ‘nation’ through their death, rejected to become a common man at the sam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