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76년 <상주 북장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과 조각승 지현 (The 1676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of Pukchangsa Temple, Sangju and the Monk Sculptor Chihyŏ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5.04
40P 미리보기
1676년 &lt;상주 북장사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gt;과 조각승 지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82호 / 51 ~ 90페이지
    · 저자명 : 양재연, 임영애

    초록

    이 글은 경상북도 상주시 북장사(北長寺)의 극락보전에는 봉안되어 있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에 대한 것이다. 중앙 본존상의 앉은키만 189.5cm로 조선 후기(1609-1900) 불상 가운데 크기가 큰 편이며, 조각 역시 우수하다. 그러나 아쉽게도 3구 모두 조성기를 잃어 <북장사 삼존상>을 누가 조각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다만 다행스러운 점은 1706년에 작성된 『북장사사적기』에 실린 「전우영건기 (殿宇營建記)」에 이 삼존상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어, 소영당 신경(昭影堂 神鏡, ?-1706)이 증명(證明)의 소임을 맡아 1676년에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위 기록을 통해 <북장사 삼존상>의 제작 시기와 증명은 알 수 있게 되었지만, 조각 승이 누구인지는 여전히 알 수 없었다.
    지금까지 <북장사 삼존상>은 17세기 중엽을 대표하는 조각승 희장(熙藏, 활동 1639-1666)의 작품이라고 추정해 왔다. 그러나 <북장사 삼존상>의 제작 시기인 1676년까지 희장이 활동했을지의 문제, 1678년 희장의 제자인이 제작한 <남해 용문사 지장시왕상>과 형식 및 양식이 거의 같아 희장이 아닌 그의 제자 지현이 제작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같은 북장사의 명부전에도 1689년 지현이 제작한 지장 시왕상이 남아있어 <북장사 삼존상>을 지현이 제작했을 가능성을 높여 주었다. 한 사찰 안에서 전각을 달리하여 같은 수화승이 전담해 불상을 조성하는 일이 적잖기 때문이다. <북장사 삼존상>은 조선 후기 불상 가운데 크기가 큰 편이며, 당당한 신체와 독특한 대의 주름이 특징인 희장파 작품으로 조선 후기 사세가 컸던 북장사의 주불전에 봉안된 상주를 대표하는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located in Kŭngnakpojŏn (Paradise Hall) of Pukchangsa Temple (北長寺) in Sangju City of North Kyŏgsang Province. The central figure of seated Amitabha is flanked on both sides by the attendant bodhisattvas Avalokiteśvara and Mahasthamaprapta. The principal image of seated Amitabha at the center is 189.5 centimeters high, which is considered relatively large among the Buddhist sculpture of the late Joseon period(1609-1900). The image of Amitabha is also notable for its fine sculptural qualities and detail. Unfortunately, all three figures of the Pukchangsa Buddha triad are missing their chosŏnggi, the paper sheet ordinarily enclosed inside the sculpture, which contains the date the statue was created. Consequently, it is impossible to emphatically determine who made the Pukchangsa Buddha Triad. However, extant historical records from 1706 regarding the Pukchangsa Buddha Triad were discovered in the “Chŏnuyŏnggŏn’gi” section of Pukchangsasajŏkki. According to these records, the triad underwent its final inspection in 1676 by the monk Soyŏngdang Sinkyŏng who was tasked with this responsibility at Pukchangsa Temple. Thus this account reveals exactly when the Buddha triad was created and who oversaw its finishing examination upon its completion. Nevertheless, there is still no way of decisively ascertaining the identity of the original sculptor based on textual evidence alone. A midst these circumstances, this article aims to establish which monk created the 1676 Pukchangsa Buddha Triad and the nature of the sculptor’s relationship with Sin Kyŏng of Soyŏngdang. Lastly, the article also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Pukchangsa Buddha Triad against the larger scheme of Buddhist sculpture from the late Joseon period.
    Until now, the Pukchangsa Buddha Triad was generally ascribed to Hŭijang, a well-known monk sculptor of the mid-seventeenth century. There are several issues that challenge this hypothesis. First, it is unclear whether or not Hŭijang was still working in 1676 when the Buddha triad was made. Second, there is another more compelling candidate to consider. Chihyŏn, an apprentice of Hŭijang, created the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of Yongmunsa Temple in Namhae. This sculptural work is nearly identical in style and form to the Pukchangsa Buddha Triad. The close sculptural affinity between the two examples makes a strong case for crediting Chihyŏn over Hŭijang as the original sculptor of the Pukchangsa Buddha Triad. Moreover, another example of the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made by Chihyŏn is located in Myŏngbujŏn (Judgement) Hall of Pukchangsa Temple, which only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Chihyŏn sculpted the Buddha triad during his time at the temple. Indeed, it was a common occurrence for one monk sculptor to take on the exclusive responsibility of creating the numerous images for a temple and its many spaces.
    The Pukchangsa Buddha Triad is undeniably the work of a monk sculptor affiliated with Hŭijang and thus a product of the most renowned group of sculptors in the mid to late seventeenth century. Among the many monk sculptors who worked under Hŭijang, it is most likely Chihyŏn who should be credited for the Pukchangsa Buddha Triad. The triad is a relatively large-scale example of Buddhist sculpture from the late Joseon period. Most importantly, it features a multitude of stylistic elements that is representative of Hŭijang and his followers’ work such as an imposing body and a unique expression of drapery. As such, the Pukchangsa Buddha Triad is to be celebrated as one of the symbols of Sangju that is enshrined in the Main Hal lof Pukchangsa Temple, an important temple of the late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