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佛敎의 僧家戒律과 基督敎 修道規則의 精神 比較硏究 (The Spirit of Buddhist Monastic Precepts & Christian Monastic Rules: a Comparative Stud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08.08
32P 미리보기
佛敎의 僧家戒律과 基督敎 修道規則의 精神 比較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30호 / 13 ~ 44페이지
    · 저자명 : 서명원

    초록

    본 논고에서는 불교의 승가계율과 기독교 수도규칙의 根本精神을 비교하여 각각의 차이점들을 인정하면서도 그 유사성을 드러내어 불교 出家者와 기독교 入會者가 어떻게 공통되는 修道精神에 참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근본정신의 이상구현을 위해서는 불교의 승가나 기독교의 수도공동체 안에서 각각 三學의 수행체계라고 할 수 있는 戒 · 定 · 慧와 그것에 상응하는 수도규칙서 · 기도 · 성령 안에서의 삶 등이 서로 맞물리는 완전한 수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두 종교 전통 사이의 차이점도 분명 존재한다. 우선 기독교의 본래 정신을 회복하기 위해 평신도와 수도자의 생활 방식에 있어 그 평등성을 명확하게 긍정했다. 반면에 승가계율은 불교의 중심인 승가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붓다 당시에 제정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불교와 기독교는 出家者와 入會者의 역할 중심성에 대한 서로의 입장이 다르다.
    이에 따라 본 논고는 出家者와 入會者의 상호간 이해와 존중을 강화하기 위해서 기능적 비교를 사용하며 진리에 대한 대화적 접근 방법을 통해 승가계율과 기독교 수도규칙의 근본정신을 대비시켰다. 그럼으로써 出家者와 入會者가 서로 공통되는 修道精神을 나누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mpares the basic spirit of Buddhist monastic precepts and Christian monastic rules. By first examining the data and then appraising them through the use of functional comparisons, it applies the methodology of religious phenomenology: a dialogical approach of truth that avoids the extremes of objectivism and subjectivism.
    A first part shows that Buddhist monastic precepts and Christian monastic rules each display a very strong unity of spirit throughout time, despite the fact that they both underwent considerable transformations due to the need to adapt to ever changing historical situations. Indeed, as monastic precepts are meant to help the Buddhists that have renounced the world to achieve awakening like the Buddha, the monastic rules are meant to make Christians as awakened as Christ was.
    A second part describes how monastic precepts and rules were respectively born, pointing to the fact that, although the core of the former progressively took shape within the Buddhist monastic community during the lifetime of the Buddha, the latter took shape several centuries after the death of Christ, during Constantine rule at the beginning of the fourth century, when Christian religious life began to appear in answer to the excessive secularization of Christianity within the Roman empire. Nevertheless, despite such a striking difference pointing to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each tradition, monastic precepts and rules are respectively meant to help one to achieve, through complete awakening, the compassionate or loving behaviour which constitute the ultimate goal of Buddhism and Christianity.
    A third part demonstrates that both Buddhism and Christianity see ultimate reality as being thoroughly ethical in nature. Their respective founders became one with that ultimate reality through awakening, thus completely embodying that ethical ideal in time and space. As a result, their behaviour was highly ethical and they had no need at all for a fully-fledged set of precepts or rules. But the same cannot be said of their followers who almost always definitely needed and still need such precepts and rules in order to become awakened to that reality and embody it through their behaviour. At the same time, an excessive clinging to precepts or rules may end up being just as detrimental as their total neglect. The spirit of the Middle Way constitutes an excellent antidote to the constant temptation of falling into such extremes that obviously pervades both traditions.
    In conclusion, it may be said that just as Buddhism sees in the practice of the monastic precepts, meditation and wisdom the three complementary disciplines indispensable to realize Buddhist awakening, Christianity sees in monastic rules, prayer and life in the Spirit, the three indivisible and sine qua non disciplines required to achieve Christian awakening. Interestingly, a tension has been at work throughout history within both Buddhism and Christianity regarding whether it is necessary or not to renounce the world to reach full awakening. Nevertheless, Buddhists having renounced the world and Christians having joined a religious society may be said to be close in spirit as they search for truth and respectively strive to achieve Buddhist Compassion or Christian Love in a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