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후기~조선전기 免役僧의 증가와 度牒制 시행의 성격 (The Population Increase of the Corvee-exempted Monks & Characteristics of the Enforcement of Dochubje(度牒題) during the Period from Late Koryo to Early Chosun Dynast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3.08
37P 미리보기
고려후기~조선전기 免役僧의 증가와 度牒制 시행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44호 / 1 ~ 37페이지
    · 저자명 : 양혜원

    초록

    고려 이래 승려들은 免役 특권을 누리고 있었으므로, 면역집단과 국가체제라는 구도에서 보면 국가의 崇佛여부와 상관없이 승려수의 규제는 필연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를 염두에 두고 고려후기 官壇체제가 무너진 이후부터 조선전기 成宗代 度牒制가 『經國大典』 度僧條에 오르기까지 승려의 수와 도첩제 개정 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려전기의 승려집단은 면역의 일반승려와 비면역의 하급승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들의 구분은 官壇에서의 구족계 受戒 여부에 따라 대체로 명확했다. 그러나 고려후기에 관단체제가 무너지면서 면역승과 비면역승 간의 경계가 불분명해 진다. 이들 모두는 단순히 僧, 僧徒로 인식되고, 여기에 기존에 출가가 제한되던 부류의 출가까지 더해지면서 면역 수혜 범위가 크게 확대된다.(<그림 1><그림 2> 참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가는 도첩제를 실시하여 출가자에게 많은 丁錢을 물리고 출가 신분과 직역을 제한하였으나, 규제는 잘 지켜지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조선전기까지 이어진다. 막대한 승려 수에 대한 『朝鮮王朝實錄』의 기록은 2개의 층위로 구분된다. 몇 십만 단위로 표현된 과다한 승려 수치는 고려후기 이래 승려집단에 대거 유입된 하급승려와 資質未達僧, 避役者가 포함된 것이다. 십 몇 만 단위로 표현된 수치는 국가가 남기고자 한 일반승려, 즉 면역 대상인 도첩승의 규모이다.
    조선은 도첩제에 대한 논의 끝에 출가자의 신분과 직역을 제한하지 않고 정전량을 현실화 하는 대신, 승려의 자질을 검증하기 위한 텍스트를 규정하여 誦經시험을 치르도록 결론 내렸다. 이것이 바로 조선전기 도승 규제의 완결판인 『經國大典』 度僧條이다. 조선전기 도첩제 개정 과정은 고려후기와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일방적인 출가 규정 강화가 아니라 현실을 기반으로 면역 대상이 될 수 없는 승려들을 걸러낼 수 있도록 기존 도첩제의 허점을 메워가는 과정이었다.

    영어초록

    Because the monk-group had enjoyed the privilege of corvee exemption since Koryo dynasty, the government regulation to limit the population number of monks was inevitable, Bearing such conflict of interests between the monk-group and government in mind, this article scrutinized the population number of monks and the evolution of the debates on the issues of Dochubje (度牒制) revision between the period of the late Koryo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The monk-group in the early Koryo dynasty was composed of the normal monks who were exempted from corvee and the low-ranking monks who were not. However, in the late Koryo dynast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sub-groups became obscure, They started to be simply regarded as corvee-exempted monks altogether, which led to the great increase of the number of corvee-exempted population, (See table L 2) In order to cope with such problems the government of Koryo dynasty enforced Dochubje, but failed to make it obeyed well Such trends emerging in the late Karyo dynasty persisted uniil the early Chosun dynasty. After all. Chosun dynasty enforced 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Doseungjo(度僧條). the revised version of Dochubje. that repealed the clause which restricted the social status an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for the Buddhist priesthood. levied reasonable amount af money on those who left home for monks. and added a new clause that all the candidates far monks should pass the test of reciting the Buddhist sutras to be qualified as monks. The revision process of Dochubj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can be regarded as an extension of the policy debates in the late Koryo dynasty. and should be seen as efforts to fix the loophole of Dochubje in order to sieve out the monks who should not have belonged to a corvee-exempted gro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