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 후 平洲 李昇馥의 신국가 건설운동 (Lee Seung-bok’s Post Liberation Nation-building Move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0.06
41P 미리보기
해방 후 平洲 李昇馥의 신국가 건설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숭실사학 / 24호 / 143 ~ 183페이지
    · 저자명 : 오영섭

    초록

    이승복은 일제시기에 비타협적 민족운동을 전개한 저명한 민족주의자이다. 그는 해방 후에 우파와 좌파 민족주의자가 모두 참여한 자주적인 통일민족국가를 건설하려 노력하였던 인물이다.
    해방 후에 이승복은 안재홍과 밀착하여 활동하였다. 1930년대 전반 조선일보사와 신간회에서 같이 활동한 인연으로 두 사람은 일제 말엽까지 정치적ㆍ사상적으로 가장 긴밀한 사이였다. 이로써 이들은 해방 이전에 좌우 연합 통해 자주적 통일민족국가를 건설해야 한다는 중도우파의 정치노선을 확립하였다. 이런 정치노선에 따라 두 사람은 해방 후에 조선건국준비위원회ㆍ조선국민당ㆍ국민당ㆍ한국독립당ㆍ민주독립당 등에서 자신들의 이상을 실현하려 하였다.
    정당활동을 벌일 때에 이승복은 전면에 나서서 활동하기보다는 막후에서 교섭하는 데에 장점을 보였다. 그는 일제시기 신간회운동 때에 이면에서 실무를 전담함으로써 그러한 자질을 보였다. 해방 후에도 그는 국민당 총무부장을 지낼 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이면에서 은밀히 중요 활동을 처리하곤 하였다. 안재홍으로 하여금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탈퇴하고, 조선국민당을 창당하도록 하고, 민정장관직을 수락하도록 했던 일 등은 그가 벌인 막후활동의 대표적인 사례였다. 그래서 그는 “이승복은 막후에서 설득하는 일을 가장 잘한다”는 평을 들었다.
    이승복은 민족주의자와 공산주의자가 연합하여 자주적인 통일민족국가를 건설해야 한다는 신념에 따라 정치활동을 벌였다. 그는 건국준비위원회에 가담했다가 좌익세력의 좌경화와 일부 우익세력의 비협조에 실망하여 자진 탈회하고 말았다. 이어 안재홍으로 하여금 조선국민당에 가담하도록 함으로써 조선국민당 창당의 산파역이 되었다. 또한 그는 조선국민당이 중간파 정당들과 통합하여 확대된 국민당에서 총무부장을 맡아 활약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좌우 연합이 불가능해지자 우파만의 연합을 통해 건국대업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승복은 극좌세력과 극우세력 및 친일파세력을 단호히 배척하고 온건성향의 좌우파 민족운동자들을 중심으로 신국가를 건설하려 하였다. 그는 미군정의 한국통치에 반대해 극좌모험주의를 일삼는 박헌영세력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또한 반탁운동을 주도하며 패권 장악에 열중하는 한독당세력, 친미적 성향을 보이며 단정운동을 주도한 이승만세력, 일제시기의 친일파와 지주들이 다수 포함된 한민당세력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요컨대 그는 미군정의 승인ㆍ협력 및 국제연합의 지원 하에 자주적 민족국가를 건설하는 대업을 이루려 하였다.
    조선국민당ㆍ국민당ㆍ민주독립당의 정강에는 이승복의 건국이념이 담겨 있었다. 그가 이들 정당의 정강을 직접 기초하진 않았지만 거기에는 그와 정치사상을 공유했던 인사들의 이상이 담겨있었다. 그 정강의 핵심 내용은 대지주ㆍ대자본가를 억제하고, 노동자ㆍ농민 및 중소지주ㆍ중소상공인의 권익을 보호하려는 경제정책을 담고 있었다. 예컨대, 기간산업의 국유화, 중소기업의 보호육성, 이윤소득의 억제, 자작본위의 농업정책, 노동자ㆍ농민 위주의 노동조건, 대토지 소유의 제한, 여성의 근로향상 등이 다른 조항들에 비해 강조되어 있었다. 이것은 이승복이 중간우파의 정당들은 기본적으로 사회적 약자의 이익을 대변하려는 것을 정치사상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승복이 전개한 좌우연합운동은 당대 사회현실 및 국제정세와 유리된 고답적인 이상주의에 불과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해방후 정당난립 상태에서 지나치게 이상적인 태도로 정당통합운동을 벌임으로써 극좌-극우세력으로부터 심한 견제를 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이승복은 유엔 총회의 남한만의 단독선거 실시방침에 찬성하여 자신들의 국가건설방략을 수정하기도 하였다. 이런 약점들에도 불구하고 이승복의 좌우연합운동은 현재의 남북분단 상황을 주체적으로 극복하고 자주적인 통일민족국가를 건설해야만 하는 민족적 과제를 안고 있는 한민족에게 유익한 자산이 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Lee Seung-bok is well known as a patriot who poured out his entire life on intransigent national movement in colonized period by Japan. He was a historic figure who tried to realize a unified nation-state collaborated by both left & right nationalists since liberation. Since then Lee Seung-bok acted in close tie with Ahn Jae-hong. Two figures were remained as sidekicks not only in political viewpoint but also in public opinion working together in Chosun daily Newspaper & Shingan-hoe.
    From that time on, these people envisioned to establish a unified nation-state before liberation with independency integrating left & right forces. In this political position which slightly inclined toward right from the middle, two figures intended to realize their ideal vision by setting some organizations like the Founding Chosun Committee, National Party of Chosun, Korean Independence Party, and Democratic Independence Party.
    Lee Seung-bok usually showed off his ability behind the scene in making external overture rather doing something visible in front line. Such a capability of him in a working level was proved earlier from the period of Shingan-hoe. Even after liberation, he executed major activities & affairs behind the scene except some period during which he served as general secretary in People's Party. One of the typical examples was to let Ahn Jae-Hong to drop off of the Founding Chosun Committee and to create a new political party named National Party of Korea, to undertake a minister position of Civil Administration. For these achievements, he was evaluated as an “expert of behind the scene negotiator.”Lee Seung-bok showed off his capability in the belief that regardless of political position nationalists & communists must be one in order to establish a unified nation-state. Once he joined with Founding Chosun Preparation Committee, but immediately dropped off of the Committee due to two reasons; one is excessive leftist swing, the other was uncooperative attitude of some rightists. At that time, he made Ahn Jae-hong to be a part of National Party of Chosun and to be a spearhead by which he wanted to create new party People’s Party of Chosun. He powerfully acted as a general secretary in People’s Party where National Party of Chosun and minor parties are integrated. Finally, after recognizing union between left & right is impossible, he wanted to achieve the great mission by unifying rightists.
    Lee Seung-bok sought to establish quite new nation in accordance with modest nationalists rejecting two extremes; extremely left & right and Japan-friendly forces. He especially criticized Park Hun-young and his sidekicks who are following excessive left adventurism and opposing American dominance over Korean Peninsula.
    He took initiative to lead anti-trusteeship movement, and opposed to Handok party that preoccupied by tacking political power, Lee Seung-man & his followers that inclined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and Hanmin party where many Japan-friendly forces and landlords. The bottom-line of his idea is to erect an independent nation state giving sanction and collaboration to American militar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diplomatic support.
    Lee Seungbok’s idea of founding a country was in the platform of Chosun People’s party, People's party, and Democratic Independent party. Albeit he did not draft it directly, there were similar thoughts with his sidekicks with whom they worked. The cadre of the platform dealt with constraining policy against big landowner or capitalists on the one hand, and protecting agenda for laborers, farmers, small landowner, and people plugged in commerce & industry. For instance, nationalization of basic industries, rearing of minor enterprises, restraining of profit & income, self-cultivation based farming policy, working condition for laborers and farmers, limited qualification for owning huge acres, enhancing condition of women laborers are mainly stressed comparing to other issues. This means that Lee Seungbok’s belief that parties which slightly inclined to right from the middle largely defend for the weak in their society.
    Lee Seung-bok’s integrating movement from the right & left alike was many times criticized as transcendent idealism isolated from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international affairs. And his contention was jammed between two extremes in antipode for allowing unauthorized parties that are so away from reality. In this context, he agreed with independent election of the South Korean suggested by UN, and amended a little about founding a nation strategy. In spite of shortcomings, his integrating movement in politics regardless of right & left seems to be very significant in terms of current situation in Korean peninsula divided into two, and from which both government try to make an unified nation state come true in autonomous way nonetheless. This is an inevitable agenda big enough not to avoid in our nation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숭실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