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北齊 僧稠禪師의 習禪法에 대한 분석적 고찰 (Analysis of the Methods for the Practice of Meditation by Master Sengchou in the Period of the Northern Qi)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7.07
33P 미리보기
北齊 僧稠禪師의 習禪法에 대한 분석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48호 / 111 ~ 143페이지
    · 저자명 : 최은영

    초록

    본고는 기본적으로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습선법이 크게 다르지 않으며, 그 정신적인 배경에서 이타로 확장되는 측면이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승조가 수행한 선법을 분석하여 그러한 생각이 타당함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北齊의 僧稠(480-560)는 『속고승전』 편찬자 道宣의 評文에 의하면 習禪篇 전체에서 菩提達磨와 ‘乘之二軌’로 짝을 이루는 가장 존경할만한 선사였다. 승전의 기록에는 그의 이력을 따라 그가 수행한 습선법이 기록되어 있다. 곧 止觀・四念處・十六特勝・死想이 그것이다. 주지하듯이 이들 수행법은 소승불교의 대표적인 좌선법이다. 그런데 근세에 돈황에서 발견된 문건 가운데 승조와 관련이 있는 글에서 대승선(특히 北宗禪 관련)의 無心・安心・守本 등이 명시되어 있어서 관주할만한 연구주제가 되었다.
    본 연구 결과 승조는 당시 북조불교에 유행하였던 『열반경』과 『성실론』의 수행관련 내용에서 영향을 받은 측면이 있음이 드러나게 되었다. 특히 死想과 같이 초기불교에서부터 실수되어 내려온 수행법이 『열반경』・『성실론』에서만 이타적 성향의 설명으로 전환되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승조가 止觀을 익히고 다시 十六特勝으로 수식법 계통의 추가적인 습득이 필요했을 이유는 『성실론』의 문장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성실론』을 비롯한 경론을 통해서 십육특승은 사념처를 보다 잘 수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측면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열반경』의 사념처는 『좌선삼매경』 등 여러 선관경류의 영향 관계를 보이면서도, 주재자를 추구하는 독특한 형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승조가 일찍부터 『열반경』 사념처를 닦았던 것은 이후의 다른 습선과 연관되어 진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이 습선법의 명칭이 소승선법과 같다고 해도 경론에 따라서 대승의 이타와 자비를 함양하는 記述이 발견되고, 이것에 의해 수행을 할 경우 자연스럽게 대승적 사상으로 발전될 수 있음을 돈황에서 발견된 승조의 글이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urports to analyze the practice of meditation by Master Sengchou (僧稠, 480-560)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argument that the methods of meditation expand their spirit toward the benefit of others in Mahayana Buddhism while there is no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ravada and Mahayana Buddhism.
    Master Sengchou (僧稠, 480-560) in the Northern Qi (北齊) was one of the most admirable masters, being regarded as equal to the Master Bodhidharma, both of them forming two wheels of a vehicle within the whole chapter for the practice of meditation (習禪篇), according to the appraisal of Dao Xuan (道宣), the editor of the Sequel to the Biography of Eminent Monks (續高僧傳). In the recordings of the Sequel, there appear the methods for the practice of meditation according to his career, including cessation and observation (止觀),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四念處), sixteen extraordinary methods of contemplation (十六特勝), the meditation on death (死想). As known, they are representative methods of meditation in Theravada Buddhism. In the documents related to Sengchou that have been found at Dunhuang in the modern period, however, there appear explicit expressions referring to the methods of meditation in Mahayana Buddhism (especially belonging to the Chan of the Northern Order 北宗禪), including no mind (無心) and peace of mind (安心), so we need to focus on this fact.
    As a result, Sengchou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ractice of meditation in the Nirvana Sutra and the Treatise on the Demonstration of Truth (成實論, Satyasiddhiśāstra) that were being circulated among the contemporary Buddhists of the Northern dynasties. Further, the methods of meditation inherited from the early Buddhism through actual practice, including the mediation on death, are ascertained to have been transformed with altruistic explanations only in the Nirvana Sutra and the Treatise on the Demonstration of Truth.
    After having learned the methods of cessation and observation, Sengchou appears to have had the additional need to learn the methods of breath counting, including the sixteen extraordinary methods of contemplation, the reason for which might be found in the sentences of the Treatise on the Demonstration of Truth. Through scriptures and treatises including the treatise, the sixteen extraordinary methods of contemplation are ascertained to have some elements of complementing the better practice of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In addition,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in the Nirvana Sutra appear to have been influenced by scriptures focusing on meditation, including the Sutra on the Concentration of Sitting Meditation (坐禪三昧經), with a special style of pursuing a supreme ruler. Sengchou appears to have begun to practice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early in his life, possibly later relating this practice with his subsequent methods of meditation practice.
    Thus, the methods for the practice of meditation, in spite of the same names as in Theravada Buddhism, might include elements that enhance altruism and compassion in Mahayana Buddhism, according to the influence from other scriptures and treatises, whose practice might have promoted naturally their further development according to Mahayana Buddhism, as exemplified in the writings of Sengchou found at Dunhu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