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산성 승영사찰의 공간 배치와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site planning(spatial arrangement) and characteristics of Military Temple on Bukhansanseong Fortres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9.12
29P 미리보기
북한산성 승영사찰의 공간 배치와 특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산학보 / 115호 / 113 ~ 141페이지
    · 저자명 : 김선

    초록

    승영사찰은 승려들의 예불공간과 군영공간을 갖춘 사찰로 조선시대 후기에는 산성 등 주요 방어 거점이 되는 곳의 사찰을 의미하며, 사찰을 세우고 승려들이 머물면서 산성방어를 담당하는 기능을 하였다. 이러한 사찰은 산성 내 수구나 성문, 암문 근처에 입지하여 성곽 내에서 취약한 부분을 수비하고, 승군이 훈련하는 곳으로 각종 무기를 제조하거나 보관하는 전투의 기지로서의 역할도 하였다.
    따라서 조선시대 승영사찰에 거주하는 승도는 임무에 따라 역할이 나뉘므로 승영사찰은 산성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북한산성 내 승영사찰의 공간 구성은 대부분 사동중정을 중심으로 폐쇄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전각을 구성하고 있는 반면 일부는 지형적 특성에 맞게 다른 공간배치 유형을 보이고 있다. 승영시설과 예불공간이 분리되었으며, 특히 승영사찰의 독특한 기능적 특징인 군기창고의 공간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었다. 화약무기 등을 보관․관리하는 군영공간의 형성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중흥사와 부왕사지에서 명확히 드러나며 이는 남한산성의 한흥사지에서도 유사하게 확인된다.

    영어초록

    Military Temple is a temple that comprises the Buddhist service space for priests and the military camp space and it referred to the temple located in major defensive bases such as mountain fortres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Once the temple was built, priests stayed in the temple to protect the fortress. This type of temple also played the role of the battle station located near the water outlet, front gate, or hidden gate inside the fortress to guard vulnerable part of the fortress, train priest soldiers, produce and store various weapons.
    As priests who stayed in the Military Templ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were given different roles depending on their duties, the Military Temple had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fortress.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Military Temple inside Bukhansanseong Fortress reflects various historic contexts of the Buddh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17th century. Most temples have buildings that form a closed space around the inner court in the center. The priest soldier facilities and Buddhist service space were separated, and particularly, the temple had an additional space armory space, which is the unique functional feature of the Military Temple. The formation of the military camp space to store and manage gunpowder weapons and so on is the biggest difference, and such characteristics clearly appear in Jungheungsa Temple and the Buwangsa Temple site, and similar exmaples are also found in the Hangheungsa Temple site in Namhansanseong Fortr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