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승의 수계와 승적 (The Ordination of a Monk and Monk Registry in Sill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4.08
57P 미리보기
신라승의 수계와 승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31호 / 37 ~ 93페이지
    · 저자명 : 여성구

    초록

    본 논문은 신라 불교교단을 이해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그 단초로서 수계 과정과 승적 작성에 주목한 글이다. 비록 자료가 빈약하지만 受戒와 僧籍이라는 문제에 국한시켜 살펴보았다.
    첫째, 출가 이후 사미(사미니)계를 받을 때까지의 행적을 고찰하였다. 둘째, 사미(사미니)계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사분률≫에는 사미계로서 10개의 戒律門과 24科 284條로 구성된 威儀門을 들고 있다. 신라 사미(사미니)들이 사미계를 충실히 지키려고 노력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미(사미니) 이후 구족계를 받을 때까지의 행적을 고찰하였다. 사미계를 받고 난 이후 수학한 경전은 일정하지 않으나 경전 연구에 매진하였으며, 그것이 어느 정도 완성되면 또 다른 스승을 찾아 순력하거나 특정 사찰에 가서 수학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구족계를 받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었음을 밝혀보았다.
    넷째, 구족계의 내용과 수계 사원을 고찰하였다. 통도사 금강계단 설립 이전에는 어떻게 수계하였는가? 수계가 이루어진 사찰은 어느 곳인가? 출가사원과 수계사원을 의도적으로 구분했는가? 계단사원은 교종사찰에만 존재했는가? 사단사원도 있었는가? 私壇寺院도 있었는가? 등등의 문제도 주목하였다. 백제의 경우 587~588년경 이전부터 10사에 의한 수계 작법이 존재하였다. 신라 역시 ≪四分律≫에 근거하여 수계시 10사 제도를 충실히 수행하고 있었다. 관단사원으로 불리는 수계사원은 通度寺(良州)・嚴川寺(康州)・長谷寺・莊義寺(漢州)・福泉寺(溟州)・普願寺(熊州)・華嚴寺(全州)・靈神寺(武州)・法泉寺(朔州) 등이 있었다. 관단사원은 지역적인 안배로 각 州에 하나 혹은 두 개가 있었으며, 중고기에는 통도사가, 중대에는 화엄사가 수계의 대표적 사원이었다. 신라의 계율사상이 중고기에는 律師가, 중대에는 유가계 승려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과 비교해 화엄계의 계단사원이 많다는 것은 화엄이 하대에도 성행하였음을 반증하는 한편 교단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화엄종 사원에도 수계와 관련한 승려가 존재했음을 부석사에서 확인할 것이다. ‘관단’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 것을 보면, 반대로 사찰이 독자적으로 계단을 만들고 수계하는 私壇사원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각 종단에서는 자신의 종풍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있었고 이에 독자적인 계단설치가 가능했음을 밝혀보았다. 다섯째, 구족계를 받은 이후 승적에 편입되는 과정을 규명하였다. 구족계를 받은 이후의 행적을 어떠한가? 신라에 승적이 있었는가? 승적은 언제부터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내용을 기재했을까? 등등의 문제에 주목하였다. 승적 작성의 가장 큰 이유는 국가의 경제정책과 맞물려 있음을 밝히고, 그것의 작성 시기를 추적해 보았다. 그리고 승적의 계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문제도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Examined the data is poor, but to confine the problem is upasampada(具足戒) and seungjeok’s(僧籍;monk registration). First of all, get ordained after Samigye(沙彌戒) received until the acts were investigated. Reflect the willingness of the parents to have been ordained Buddhist temples or select monks(出家師). And a lot of influence on the acts and thoughts of the impact of being monks a big part in your life that you can, but since has said. Second, the contents of Samigye(沙彌戒) were investigated. Silla Sami faithfully defend the effort was able to verify that. Third, since Sami upasampada receive until the acts were investigated. Sami, was sold in an irreverent study, go to another teacher or go to certain temples and studied. Fourth, the contents of the upasampada and the precept that temples were investigated. Silla Dharmagupta Vinaya(四分律) based on 10 monks system had to fulfill. Gwandan Temple(官壇寺院) was Tongdosa, Umcheonsa, Janggoksa, Janguiesa, Bokcheonsa, Bowonsa, Hwaumsa, Youngsinsa, Beopcheonsa. Regional arrangement, each gwandan temple county(州) one or two were Tongdosa the pre-stage(中古期), Middle Ages(中代) Hwaeomsa representative temple. Fifth, since the process of being incorporated in the seungjeok’s(僧籍;Monk registry) upasampada investigated. Seungjeok the creation of the biggest reasons, coupled with the country's economic policy that states the time of writing it was to keep track. Denomination and arrange government wins control mechanism to oversee the management to install Silla government for the autonomy of the Buddhist order Samkang system(三綱制) While acknowledging dual policy was carried out. The docheopsystem(度牒制) and gyecheopsystem(戒牒制) issued the Silla Dynasty, Goryeo and Joseon era like I did not quite Buddhist denomination in the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government cope effectively were able to verify th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