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勝莊의 唯識思想 (A Study on the Buddhism Thoughts of Seungjang of the Silla Kingdo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1.08
22P 미리보기
新羅 勝莊의 唯識思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59호 / 63 ~ 84페이지
    · 저자명 : 이만

    초록

    신라시대의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중반에 걸쳐 생존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勝莊(684~?)은 그 행적 등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렇지만 그의 학문적인 성향을 간추려 보면, 圓測의 제자로서 일찍이 唯識學을 천착했던 것으로 추측되며, 그의 일실된 『金光明最勝王經疏』는 慧沼와 憬興 등의 것과 더불어 이 방면의 연구에 중요한 주석서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勝莊의 유일한 현존서인 『梵網經述記』에서는 『瑜伽論』에서 논술된 내용을 인용하여 해설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의 유식 사상가다운 면모를 엿볼 수가 있으며, 『涅槃經』 등에서 일체 중생에게 佛性이 있다고 한 내용에서, ‘일체’란 ‘少分의 일체’로서 ‘一部分’과 같은 의미인데, 이것은 수행에 따라서 法性의 妙理를 성취한 一部의 聖人과 성취하지 못한 중생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승장은 一乘家보다는 三乘家의 입장을 그의 교학 배경으로 삼고 있는 것 같다.
    승장의 諸識에 관한 견해는 몸을 지탱하기 위하여 필요한 4가지의 食物인 四食에 관하여, 思食은 業食으로서 現識인 阿羅(賴)耶識을 일으켜서 6道 윤회케 하며, 識食은 眞識인 阿梨耶識으로서 眼, 耳 등 前6識을 일으키고, 觸識은 受愛와 想像 등 4陰인 諸心을 증장시키며, 段食도 色, 聲, 香 등 5境인 諸色을 성장시킨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四食에서 최고의 경지인 金剛心까지를 경험하게 되는 것은 부처님뿐이라고 논술한다.
    불타의 세 가지 변화신인 化身과 應身 및 法身을 성취하지 못하는 것은 범부들이 三心인 起事心과 依根本心 및 根本心 등을 없애지 못하기 때문인데, 勝莊이 이 三心에 관하여 해설하고 있다. 즉, 眼, 耳, 鼻 등 6識이 인식활동을 하는 것은 起事心이고, 이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내적인 事인 번뇌의 業果로서, 眼, 耳 등 6識이 貪慾, 瞋恚 등을 일으켜 善惡業을 짓고서 五趣와 四生 등의 果事를 일으킴을 말하고, 다른 하나는 밖으로 나타난 事로서 자기가 造作한 現象界로서, 眼, 耳 등 6識이 色, 聲 등의 경계를 攀緣하여 그의 種子를 重成해서 기세간을 생성한다는 것이다. 依根本心은 末那識으로서 阿賴耶識에 의지하고, 그의 見分을 반연하여 自心相을 일으켜 實我로 집착하며, 언제나 아뢰야식을 여의지 못하므로 依根本心이라 하며, 根本心이란 아뢰야식으로서 모든 有爲法의 所依處가 되어 제법의 종자를 함장하고, 제법을 생성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는 것이다.
    중국 法相宗의 有形象 唯識論과 일반 대승불교의 無形象 唯識論은 진여와 불성론에 있어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외에도 阿陀那(ādāna)識에 관한 해석도 상이하다. 즉, 法相宗 등 新譯에서는 阿陀那識을 阿賴耶識과 같은 심식으로 여긴 반면에, 地論宗, 攝論宗 및 天台宗 등의 舊譯家들은 阿陀那識을 末那識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三心說에 관하여 勝莊은 법상종의 견해와 같이 아타나식을 아뢰야식으로 여긴 내용이 보이고 있다.

    영어초록

    Seungjang(684~?) is assumed to live life from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to middle of the 8th century at the era of Silla Kingdom and most of his achievements have not been disclosed. Considering his scientific tendency, however, Seungjang who was a disciple of Woncheuk is thought to research vijńāpti -mātrata science from his young days: An explanation of Brahmajāla that was sole book of Seungjang quoted Yogācārabhūmi to show aspect of his thought of vijńāpti-mātrata. The Mahāparinirvāņasūtra said that all creatures had Buddhatā: ‘All’ means ‘a part’, and not only saint that is a part of the accomplishment but also all creatures who are able to accomplish can exist together depending upon ascetic exercises.
    Seungjang thought of vijńāna that four kinds of 食物 that could support human body: Vicitra-āhāratā that is activity-consciousness can produce ālaya-vijńāna to make cycle of human life at six ways. Buddha only is said to experience up to diamond meditation that belongs to the highest level of 四食.
    Layman is unable to attain three Buddhakāyas that is three kinds of changes of the Buddha because he is unable to get rid of sad-vijnanani, mano-vijńāna and ālaya-vijńāna: Seungjang explained three-cittas. Then, the Chinese Bubsang-sect regards ādāna-vijńāna as ālaya-vijńāna, while not only Chuntae-sect but also Shubron-sect does ādāna-vijńāna as mano-vijńāna. As Bubsang-sect did, so Seungjang regarded ādāna-vijńāna as ālaya-vijńā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