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후기 염승익(廉承益)의 <보협인다라니·만다라> 제작과 주술 치유 (Yŏm Sŭngik(廉承益) and Healing through the Conception of the Baoqieyin Dhāraṇī-Maṇḍala Image in the Late Goryeo Dynast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24.12
35P 미리보기
고려 후기 염승익(廉承益)의 &lt;보협인다라니·만다라&gt; 제작과 주술 치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의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의사학 / 33권 / 3호 / 563 ~ 597페이지
    · 저자명 : 임영애

    초록

    고려 후기의 총신(寵臣) 염승익은 다라니로 병을 고치는 능력이 있었고, 그 능력을 인정받아 나라의 재상에까지 올랐다. 이는 그만큼 고려인들이 다라니에 의지했음을 알려준다. 물론 다라니를 외워 원하는 바를 얻으려는 마음은 이미 신라부터 있었다. 그러나 고려인들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보다 간결하면서도 훨씬 더 효과가 있다고 믿은 보협인다라니(寶篋印陀羅尼, Precious Casket Seal Dhāraṇī)을 선호했다. 이 글에서 필자는 그 마음을 잘 읽어낸 염승익이 1276년에 보협인다라니와 밀교의 만다라를 하나의 원 안에 넣어 새로운 도상의 아이디어를 만들어냈다고 추정했다. 16년이 지난 후인 1292년에는 보협인다라니에 각종 진언spell을 추가하고, 또 가장자리에 제작자, 제작 장소, 제작 시기 등을 적어 넣어 또 다른 <다라니·만다라>를 제작했다. 치병에 효력이 있는 『보협인경』 다라니에 강력한 힘을 지닌 각종 진언을 덧붙이고, 중앙에는 생명의 탄생이자 근원을 상징하는 37존과 8엽을 만다라 형식으로 배치한 것이다. 염승익은 핵심만을 뽑아 하나의 원 안에 압축해 넣은 <다라니·만다라>를 대량으로 생산해 유포했다.
    1276년 본과 1292년 본은 이후에도 불상에 함께 납입되었지만, 조선시대로 넘어가면 1292년 본만 남아 1466년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이하 <상원사 문수동자상>)에서 발견된 실크 저고리에도 찍혔다. 1466년 왕실에서 제작한 <상원사 문수동자상>에까지 1292년 <다라니·만다라>가 쓰인 것을 보면 그의 명성은 조선시대까지도 이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염승익이 1292년에 제작한 <다라니·만다라>는 이것을 몸에 지니고 외기만 해도 병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고 믿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주문을 외워 주술을 부리는 늙은이’라 불렸던 염승익이 이 <다라니·만다라>를 제작했고, 큰 경제적 부담없이 이 <다라니·만다라>를 지니기만 해도 병을 낫게 해주는 주술의 도구로 사용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다라니·만다라>를 몸에 지니기도 했겠지만, 불상의 복장으로 납입하여 불보살상에 다라니의 신통력이 더해지도록 했을 것이다.

    영어초록

    Yŏm Sŭngik (廉承益) was a ch’ongshin (寵臣) or court favorite of the late Goryeo dynasty who was recognized for his ability to cure diseases using dhāraṇī and subsequently appointed prime minister of the country. Yŏm’s quick ascension to such a distinguished post attests to the great significance of dhāraṇī among the people of Goryeo. Memorizing dhāraṇī as a way to obtain one’s desire was a preexisting concept in the Silla period. However, unlike their predecessors, the people of Goryeo preferred the Baoqieyin Dhāraṇī (寶篋印陀羅尼, Precious Casket Seal Dhāraṇī) over the Mugujŏnggwang Taedaranigyŏng (無垢淨光大陀羅尼經, The Great Dhāraṇī Sutra) as they believed the former text to be a more concise and effective vehicle for serving their needs.
    In this article I propose that Yŏm Sŭngik used his understanding of the period’s spiritual and religious beliefs to combine the Baoqieyin Dhāraṇī with the maṇḍala of Esoteric Buddhism to create a new iconographic image in 1276. Sixteen years later in 1292, Yŏm supplemented the original image with spells from the Baoqieyin Dhāraṇī and added other details such as the name of the image’s creator as well as the place and date of production. In this new version of the dhāraṇī-maṇḍala image, the various mantras from Baoqieyin Dhāraṇī are arranged in a circle that is imbued with the power of dhāraṇī and its therapeutic potency. The center of the circle is a maṇḍala composed an eight-petaled lotus as well as the thirty-seven deities symbolizing the birth and source of life. In this way, Yŏm condensed the essential components of Buddhist ideology that most appealed to believers to create a modified dhāraṇī-maṇḍala image that was produced in great quantities and distributed throughout Goryeo.
    Both the 1276 and 1292 versions of Yŏm’s dhāraṇī-maṇḍala discovered in Buddhist sculpture. However, only the latter image continued to be made after the Goryeo dynasty. One example of the second version was found stamped on a silk chŏgori discovered in the Wooden Seated Child Mañjuśrī statue of Sangwŏnsa Temple in P'yŏngch'ang. Created in 1466, the Mañjuśrī statue was an important commission by the royal court. Thus the stamped image of Yŏm’s 1292 dhāraṇī-maṇḍala in this example of Buddhist sculpture demonstrates the influence and relevance of a new iconography that had persisted well into the Joseon dynasty.
    The dhāraṇī-maṇḍala image conceived by Yŏm Sŭngik in 1292 was worn or kept on the body in the belief that this act alone protected the wearer from affliction. Known as “an old man who practiced thaumaturgy by memorizing spells,” Yŏm created the dhāraṇī-maṇḍala as an iconographic instrument that would cure any sickness that might plague the bearer. Perhaps most importantly, the new dhāraṇī-maṇḍala image was accessible to all as both a convenient and affordable means of healing. Lastly, Yŏm’s dhāraṇī-maṇḍala was also incorporated into the garments of bodhisattva and Buddha statues, which served to amplify their divine powers of dhāraṇī.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