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비스스케이프에 기반한 공공도서관 구성요인 및 가치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Value of Public Libraries Based on Servicescape -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 Public Library-)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3.08
16P 미리보기
서비스스케이프에 기반한 공공도서관 구성요인 및 가치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5호 / 45 ~ 60페이지
    · 저자명 : 양디, 김철수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도서관은 정보자원관리자, 정보서비스제공자, 문화 및 소양의 교육자로서 정보화, 디지털화 시대에 따라 도서관 내 방문이용자가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에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은 시장 마케팅의 서비스스케이프를 바탕으로, 이용자 관점을 중심으로 하는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요인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문화 독서 서비스 수요에 따라, 공공도서관에 서비스스케이프 이론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다문화 요구를 충족시키고 사용자 정보자원 공유 플랫폼을 구축하여 사용자 정보 접근 편의성을 확대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공공도서관 공간의 향후 개선을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 공공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공간을 활성화 및 최적화하려 한다. 공공도서관 공간 차원을 확장하고,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요인에 대한 새로운 연구 관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본 논문은 공공도서관의 개념, 공간구성요인, 서비스스케이프 이론에 대한 문헌을 정리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스케이프와 공공도서관 공간의 관계를 명확히 한다. 다음으로, 선행연구에 기초해 서비스스케이프에 기반한 공공도서관의 구성요인과 가치틀을 도출한다. 최종적으로 제3차 도서관 종합발전계획(2019-2023)에서 부산시가 신축 또는 리모델링한 공공도서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결과) 사례 분석을 통해 신축 및 리모델링된 공공도서관은 청결성, 편의성, 쾌적성, 심미성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자 종합평가를 살펴보면, 신축 공공도서관이 재건축된 공공도서관보다 높은 평가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축 공공도서관 내부의 계단식 공간 형태와 유연한 공간배치는 신축 공공도서관에 개방성과 가시성을 가져다주었고, 사용자의 도서관에 대한 접근성과 정보자원 접근성을 높였다. 신축 공공도서관은 실외내 공간디자인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통일된 색상을 조정했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시각적 아름다움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감각적 체험을 높였다. 리모델링된 공공도서관은 접근성, 사회성 및 기능을 더욱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결론)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종합 문화 교류센터로 지역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고, 사용자의 평생교육 수명 주기에 맞는 효율적인 서비스스케이프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서비스스케이프에 기반한 공공도서관 구성요인과 가치 연구를 진행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공공도서관 공간형식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공공도서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공공도서관 커뮤니티 정보자원의 공유, 보존과 교류를 강조하며, 공공도서관 공간 계획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information resource managers, service providers, and promoters of cultural literacy, public libraries need to adapt to the trends of decreasing on-site user visits in the digital age. To meet the diverse cultural reading service demands of users and create a platform for shared information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the key factors shap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ies from a user-centered perspective, incorporating servicescape theories from the field of marketing. This study aims to apply servicescape theory to public libraries, aligning with needs of users' cultural reading service and expanding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resources. The goal is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improv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ies, revitalizing and optimizing their physical environments, and expanding the levels of library spaces from a new research perspective. (Method) First, this study conducts a literature review on the concept of public libraries, spatial composition factors, and servicescape theory to establish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scape and public library spaces. Secondly,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study deduces the composition factors and value framework of public libraries from a servicescape perspective. Finally, public libraries newly built or renovated under the thir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2019-2023) in Busan City are selected as case studies for research. (Results) Through case analysis, it was found that newly built or renovated public libraries had relatively high scores in terms of cleanliness, convenience, comfort, and aesthetics. Users' overall evaluations of newly built public librar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renovated ones due to the open and visually accessible spatial form and flexible layout achieved through the use of interior stepped spaces. This enhanced users'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in accessing information resources.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outdoor landscapes and interior space design, along with a coordinated and unified color scheme, visual beauty is improved and the user's sensory experience is enhanced. However, further improvements are required in terms of accessibility, sociability, and functionality for the renovated public libraries. (Conclusions) As comprehensive cultural exchange centers within communities, public libraries should cater to diverse user needs and provide an efficient servicescape that aligns with users' lifelong education requirement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composition factors and value of public libraries based on servicescape, updating the spatial forms to accommodate user demands and emphasizing the preservation and exchange of shared community resources in public libraries. This research provides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patial plan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