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장애인 동료지원쉼터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용자의 위기경험과 종사자의 지원경험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f Peer Respite for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Focusing on Experiences of Service users and provider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4.03
44P 미리보기
정신장애인 동료지원쉼터에 관한 질적 연구 : 이용자의 위기경험과 종사자의 지원경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 63권 / 63호 / 203 ~ 246페이지
    · 저자명 : 배진영

    초록

    본 연구는 정신건강 영역에서 당사자들의 필요에 의해, 당사자의 주도로 운영되고 있는 동료지원쉼터의 서비스 이용 및 제공 경험을 탐색하고자 일반적 질적연구 방법을 통하여 동료지원쉼터 이용자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당사자들은 자신의 위기를 ‘복합적 고립으로 인한 정서적 고통’으로 인식 및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동료지원쉼터 이용 이전 당사자들이 위기 시 지원받은 경험은 ‘외부 잣대에 따른 권리 제한과 사회적 철회’로 요약할 수 있다. 셋째, 동료지원쉼터의 이용 경험은 ‘권리 중심의 연결된 안전지대’로 대표된다. 넷째, 쉼터를 퇴소한 이후에도 당사자들은 ‘동료연대체와 동행’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른 동료지원쉼터의 함의는 첫째, 위기를 타자의 관점에서 판단하지 않고 당사자가 스스로 자신의 주관적 관점에 따라 정의한다. 둘째, 정해진 서비스나 환경에 당사자가 맞추는 것이 아니라, 당사자의 선호와 욕구에 맞춘 형태로 지원을 제공한다. 셋째, 이를 통해 서비스 전반에 걸쳐 당사자는 종사자와 수평적인 관계에 있음을 느끼게 되고, 안전감과 신뢰로 점철되어 가는 관계는 당사자의 심리적 안정에 크게 기여한다. 넷째, 쉼터는 위기 환경과 자극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쉼터 기능을 병행한다. 다섯째, 쉼터는 입소를 기점으로 사회와 단절되는 곳이 아니라, 사회와 지속적으로 연결을 유지하고 심지어는 새로운 공동체로 접속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peer respites’ users and workers using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ervice use and provision of peer respites, which are operated by and for the needs of people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in the mental health fiel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y perceived and experienced their crises as ‘emotional distress due to compounded isolation’; second, their experiences of receiving support during their crises prior to using peer respites could be summarized as ‘restriction of rights and social withdrawal based on external judgments’. Third, the experience of peer respites is characterized as a ‘rights-centered and connected safe zone’. Fourth, even after leaving the shelter, they are able to 'maintain their peer-solidarity'. The implications of peer respites are that, first, the crisis is not judged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but is defined by the person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own subjective perspective. Second, it provides support in a form that is tailored to the person's preferences and needs, rather than fitting them into a prescribed service or environment. Third, it allows the person to feel that they are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the workers, and a relationship filled with a sense of safety and trust contributes greatly to the person's psychological stability. Fourth, the respite functions as a place of refuge, a place to escape from crisis and stimuli. Fifth, shelters are not places where people are disconnected from society upon entering, but rather provide opportunities to continue to connect with society and even access new commun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장애인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