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광릉숲 내 봉선사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 및 생물학적 하천평가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Bongseonsa Stream in Gwangneung Forest, South Korea)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17.12
12P 미리보기
광릉숲 내 봉선사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 및 생물학적 하천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31권 / 6호 / 508 ~ 519페이지
    · 저자명 : 정상우, 조용찬, 이황구

    초록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은 오랜 기간 보전 관리된 희귀 생태계로서 생물다양성 변화 모니터링 및 보전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하천 건강성 평가 지표로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과 군집 특성에 대한 연구는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부터 9월까지 광릉숲을 관통하는 봉선사천 및 인근 계류에 대한 하천평가를위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5문 8강 17목 56과114종이 출현하였으며, 유수 지역에서 서식하는 하루살이목과 날도래목이 각각 30종(32.3%), 16종(17.2%)으로 다양성이 높았고, 오염된 하천에서 일반적으로 정착하는 실지렁이류(Tubificidae sp.), 개똥하루살이(Baetis fuscatus), 명주각다귀 KUa (Antocha KUa), 꼬마줄날도래(Cheumatopsyche brevilineata)의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섭식기능군에서는 모아먹는무리와 잡아먹는무리가 비교적 높게 출현하였고, 계류지역에서는 썰어먹는무리와 긁어먹는무리가 높게나타났다. 서식기능군에서는 붙는무리와 굴파는무리가 우세하게 출현하였으며, 여울지역의 미소서식처 다양성을 대변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지수는 평균 0.48±0.10으로 분석되었으며, 광릉숲 계류의 GS 8에서 0.33으로 가장낮게 나타났으며, 봉선사천 BS 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양도와 풍부도지수는 우점도지수와 반비례하여 나타났으며, 우점도가 낮은 GS 8의 다양도와 풍부도지수는 각각 2.53, 4.22로 나타났다. 하천의 군집안정성 분석 결과, 봉선사천은 저항력과 회복력이 높은 I특성군, 광릉숲 수계는 저항력과 회복력이 낮은 Ⅲ특성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광릉숲의수계가 교란에 민감한 종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물학적 수질평가에서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생태점수 50.88±17.69, 한국오수생물지수 1.11±0.57, 저서동물지수 78.55±11.05로 평가되었으며, 광릉숲 계류 GS 8에서 ESB (63점), KSI (0.55), BMI (89.9)로 가장 좋은 수환경과 수질 I등급인 최우선보호수역으로 나타났다. 그에반에 봉선사천 BS 1에서는 ESB (25점), KSI (2.13), BMI (62.7)로 수질등급이 가장 낮은 III등급인 최우선개선수역으로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 광릉숲 내의 수계보다는 주변에 위치한 봉선사천의 수계에서 수서곤충의 다양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거 연도별 종구성의 군집구조는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monitoring of biodiversity changes and preservation of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GFBR) in South Korea in recognition of the rare ecosystem that has been preserved for a long period.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diversity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s an indicator of stream health of GFB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water quality of Bongseonsa Stream that penetrated through Gwangneung Forest and the nearby torrents by analyzing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during April to September 2016. The investigation collected a total of 114 spec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belonging to 56 families, 17 orders, 8 classes, and 5 phyla from the Bongseonsa Stream and Kwangneung Stream. Ephemeroptera and Trichoptera were the largest groups in species diversity with 30 species (32.3%) and 16 species (17.2%), respectively, and Tubificidae sp., Baetis fuscatus, Antocha KUa, and Cheumatopsyche brevilineata, which usually habit in contaminated streams, appeared frequently. Among the feeding function groups, the gatherers and hunters appeared relatively frequently, and the shredders and scrapers appeared frequently in the torrents. Among the habitat oriented groups, the clingers and burrower appeared more frequently and represented the microhabitats in the shallow are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showed that the dominant index was 0.48±0.10 in average while it was lowest with 0.33 in GS 8 of the Gwangneung Forest torrent and highest in BS 1 of Bongseonsa Stream. The diversity and richness indices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ominant index and were 2.53 and 4.22, respectively, in GS 8 where the dominant index was low.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community stability showed that area I, which had high resistance and restoration, was high in Bongseonsa Stream while the area III, which had low resistance and restoration, was high in Gwangneung Forest, indicating that the water system in Gwangneung Forest had a wider distribution of specifies sensitive to agitation.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showed ESB of 50.88±17.69, KSI of 1.11±0.57, and BMI of 78.55±11.05.
    GS 8 of Gwangneung Forest torrent was judged to be the highest priority protective water area with the best water environment and I class water quality with ESB of 63, KSI of 0.55, and BMI of 89.9. On the contrary, BS 1 of Bongseonsa Stream was judged to be the high priority improvement area that had the lowest water quality rating of III with ESB of 25, KSI of 2.13, and BMI of 62.7. Although the diversity of water beetle was higher in the water system of nearby Bongseonsa Stream than the water system inside the Gwangneung Forest, the annual community structure appeared to have distinct differ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환경생태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