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숲치유 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자 및 가족에게 미치는 치유 효과성 연구 (Therapeutic Effects of the Forest-Healing Program on Alcohol Dependan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08.09
17P 미리보기
숲치유 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자 및 가족에게 미치는 치유 효과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강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13권 / 3호 / 727 ~ 743페이지
    · 저자명 : 조현섭, 조성민, 차진경

    초록

    숲과 자연이 심신의 회복과 건강증진에 기여가 크다는 일반적인 기대와 신념이 우리에게 자리 잡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당연하게 인정하는 것에 비해서, 그 치유적 효과의 변인 혹은 기제에 대하여 밝히려는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재)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와 (재)한국녹색문화재단은 알코올 의존자와 그 가족들을 대상으로 하여, 숲체험의 치유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2006년 연구가 비교집단 없이 진행된 점을 고려하여, 동일문제를 가지고 있고 실험집단과 유사한 수준으로 알코올 전문기관의 치료재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효과성 검증을 시도하였고, 숲체험의 치유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측정변인으로서 정서적 안정성의 상승, 수용행동의 증가 및 스트레스 지각수준의 저하,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향상 등을 선정하였다. 또한 알코올 사용 장애가 가족병이라고 일컬어지는 점을 고려하여, 의존자 본인은 물론, 의존자의 가족들에서는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도 의존자들과 동일한 절차 및 변인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의존자와 가족 모두에서 대체로 정서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의존자: 부정정서 체험전 평균=9.44, 체험후=6.87. 가족: 긍정정서 체험전=14.39, 체험후=20.43). 수용행동은 의존자보다는 가족집단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고(체험전=62.17, 체험후=66.69), 의존자의 경우, 자아존중감에서 변화를 보였다. (체험전=27.67, 체험후=29.69). 결론적으로 숲체험 프로그램이 알코올 사용 장애 문제를 지닌 사람들과 그 가족에 대해서, 알코올상담센터 등 전문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유사하거나 더 나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숲체험 참가자들도 이미 각 소속 기관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독립적으로 효과적이라기보다는 상호 상승효과가 가능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기타 제한점 및 제안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re has been generalized expectations and beliefs that the forest(nature) has an recovering effect on body-mind health. But, the research related to exploring variables and mechanisms of therapeutic effects of the forest has been insufficient. The Korean Alcohol Research Foundation & Korea Forest Foundation examin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 forest on alcohol dependen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Especially, considered that the 2006 research carried out pre-post test only for experimental group, the comparison group was comprised of other alcohol dependen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receiving similar therapeutic interventions at outpatient centers(called 'Alcohol Counselling Center' in Korea) for alcohol problems and therapeutic communities. Dependant variables were emotional stability, acceptance behavior, level of stress perception, and self-esteem. Considered that alcohol problems are characterized as family disease, patient's families also received the same intervention and assessment. The results were that emotional stabilities were generally improved in both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cceptance behavior obviously improved in family group than patient group and self-esteem has been elevated in patients group than family group. In conclusion, Forest-healing(experience) program was proved to have similar and better effects on patients and families than the various programs of the outpatient centers and therapeutic community. It suggest that this program has mutual synergistic effect with the other general alcohol programs. And limitations and propositions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