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위주체성 관점에서 바라본 유아 숲 과목 운영 사례 (Case study of children’s forest course op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gency)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9 최종저작일 2024.11
17P 미리보기
행위주체성 관점에서 바라본 유아 숲 과목 운영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4권 / 22호 / 965 ~ 981페이지
    · 저자명 : 이명순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행위 주체성의 생태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S교수의 유아 숲 교과목 운영 사례를 탐색한 논문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3년 1학기에 개설된 숲 과목의 숲 놀이 수업을 참관하고 문화 기술적 면담 방식으로 S교수를 인터뷰하여 수업 개발 및 운영을 질적으로 연구하였다. 수업 관찰 및 면담내용을 토대로 주요단어와 개념 위주로 코딩을 하고 생태학적 접근에 따라 구조 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반복적 차원에서 숲 전문가와 유아교육자로서의 과거 경험은 유아교육의 프레임 아래 체계적인 숲 교과 운영으로 나타났다. 투영적 차원에서 숲을 편안하게 느끼는 교사, 숲 놀이 활동을 만드는 교사, 자연과 공생하는 교사라는 유아 숲 교사의 비전은 교수 방법으로 표출되었다. 실천적-평가적 차원에서 S교수는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유아의 눈높이에 맞는 한국형 유치원 숲 체험교육을 현장에서 실천하고 학생들에게 안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S교수의 행위주체성은 학생의 행위주체성을 높이고 유아 숲 교사로 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정의 의미를 담고 있다.
    결론 숲 교과목 운영은 교수자의 생애사와 교직경험, 그리고 숲 교육과 유아교육에 대한 비전의 토대 위에 B대학의 맥락에 맞게 교과목을 운영하는 행위주체성이 발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유아교사 역할을 위해서 학생들이 양성과정의 교과목에서 무엇을 경험해야 하는지를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paper that explores Professor S’s case of operating a forest subject for children based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of agency.
    Methods To this end, we observed the forest play class of the forest subject open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3 and interviewed Professor S using a cultural technology interview method to qualitatively study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lass. Based on the class observation and interview contents, we coded the main words and concepts and conducted a structural analysis according to an ecological approach.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t an iterative level, past experience as a forest expert and early childhood educator resulted in the systematic operation of forest curriculum under the fram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projective level, the vision of the children's forest teacher as a teacher who feels comfortable in the forest, a teacher who creates forest play activities, and a teacher who coexists with nature was expressed through teaching methods. At the practical-evaluative level, Professor S was found to practice Korean-style kindergarten forest experience education tailored to the child's level in consideration of the student's level and guide the students. Professor S's agency like this contains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increasing students' agency and supporting them to start as children's forest teachers.
    Conclusions The operation of the forest course was shown to be an expression of the agency to operate the course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of University B based on the professor’s life history, teaching experience, and vision for forest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is, we proposed what students should experience in the course of the training course in order to play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e curriculum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