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世紀 僧匠 快演의 建築術과 佛殿 (The art of building of monk architect Koi Yeon and temple in the 18th centur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4.06
25P 미리보기
18世紀 僧匠 快演의 建築術과 佛殿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수록지 정보 : 고문화 / 83호 / 63 ~ 87페이지
    · 저자명 : 오세덕

    초록

    18세기 승장 쾌연의 건축술과 불전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본고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 해체수리 과정에서 출토된 상량문과 각 사찰에 남아 있는 기문과 현판, 사적기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승장 쾌연을 화엄사 승려로 추정하였다. 그가 도대목으로 참여하였던 불전은 전라도 일원의 미황사 대웅전과 불갑사 대웅전, 경상도 일원의 불국사 대웅전 등이 있다. 승장 쾌연이 제작했던 불전과 18세기 일반 불전과의 비교를 통해 얻은 쾌연의 독자적인 건축술을 살펴보면 첫째, 불전의 주칸 간격 설정에서 고식적 기법인 정면 주칸을 동일하게 설정하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승장의 건축술 유지를 위해 불갑사 대웅전의 경우 측면의 주칸 간격이 일반적인 불전과 다른 구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18세기 가장 많이 사용되던 연화쇠서형의 공포를 차용해서 사용했던 점을 들 수 있다. 이 연화쇠서형 공포는 18세기 여러 불전에서 사용되지만 지역 및 승장의 스타일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다. 승장 쾌연이 조성한 불국사 대웅전, 미황사 대웅전, 불갑사 대웅전 3동 모두 사면 동일형의 공포배치 형식과 4척의 주간포 간격, 공포 제공의 세부형태와 귀포의 짜임까지 대부분 비슷한 기법을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다. 셋째, 일반적으로 팔작지붕은 맞배지붕에 비해 더 복잡한 상부가구를 구성하고 있어 고급기술을 요구한다. 승장 쾌연은 이러한 고급기술이 요구되는 팔작지붕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바탕으로 모든 불전을 팔작지붕으로 조성하였고, 특히 불갑사 대웅전과 불국사 대웅전에서 지붕 가구에서 가장 중요한 부재인 대보의 생략이라는 파격적인 기법을 적용하여 상부의 가구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독창적인 기법은 17세기에서도 그 사례를 찾을 수 없는 방법이다. 넷째 승장 건축술 중 세부기법 검토를 통해 안초공과 귀포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의 표현 등의 독창적인 장엄기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쾌연 불전의 건축사적 의의는 쾌연 이라는 승장이 만든 불국사 대웅전의 성공적인 사례를 통해 당시 전라도 일원에서 유행했던 기술과 쾌행, 원신 등의 장인이 경상도 일원 특히 경주일원에 많은 기술을 전파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점을 들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art of building of monk architect Koi Yeon and temple in the 18th centu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By means of various data analysis including excavated Sangyangmun, Gimun and Hyunpan in remaining temples and record of construction, the study conjectured monk architect Koi Yeon as a monk of Hwaeomsa Temple, and he engaged in various temple building activities including Mihwangsa Daewoongjeon in Jeolla-do and Bulguksa Daewoongjeon in Gyeongsang-do. When the art of building of monk architects in general temples in the 18th century was compared with that of monk architect Koi Yeon, firstly, Koi Yeon preferred front division, an ancient technique in the formation of division of the temple. Secondly, he employed Yeonhwasoiseo type Gongpo which was the most popular type in the 18th century. While the Yeonhwasoiseo type Gongpo is used in various temples in the 18th century, it had different styles by region and monk architects. All of three temples including Bulguksa Daewoongjeon, Mihwangsa Daewoongjeon and Bulgapsa Daewoongjeon developed by monk architect Koi Yeon had same Gongpo disposition style and 4 Cheok of division distance, specific style of Gongpojegong and assembly of Guipo. Thirdly, generally, Matbae roof required more complex technology than Paljak roof. Monk architect Koi Yeon developed all temples with Paljak roof based on the full understanding on Paljak roof. In particular, he employed an innovative technique of omitting Daebo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member in roof of Bulgapsa Daewoongjeon and Bulguksa Daewoongjeon to complete the upper fixture. Fourthly, by the review of specific techniques of arts of buidling of the monk architect, it was confirmed that expression of dragon in Anchogong and Guipo was frequently used temple Jangeom. Finally, the significance of Koi Yeon’s temples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was that he laid a foundation of spreading advanced technologies in Jeolla-do to Gyeongsang-do especially in Gyeongju area by architectus like Koi Heang and Wonsin through the success case of Bulguksa Daewoongj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