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세순 편 『三家樂府』의 특성과 의미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Samgaakb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12.06
41P 미리보기
원세순 편 『三家樂府』의 특성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41호 / 145 ~ 185페이지
    · 저자명 : 김진희

    초록

    이 논문은 일본 교토대학 소장본 『三家樂府』의 원전을 비평하고 편저자에 대해 해제하였으며, 시조 한역시의 역사와 시조사 전반의 측면에서 『삼가악부』가 지닌 의미를 살펴보았다. 원전비평을 통해서는 『삼가악부』의 필사자가 이미 정정해 놓은 誤記의 양상과 후대인의 加筆 양상을 정리하여 원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였다. 또한 『삼가악부』 내 紫霞 小樂府의 이본 비교를 통하여, 『삼가악부』의 필사대본이 되었던 자하 소악부의 종류를 가늠하고, 그것이 서문을 갖춘 별책 계열이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고에서는 또한 편저자인 元世洵과 李裕承의 약력을 조사하고 그들 간의 관계를 밝혔다. 그 결과 그들이 민족정체성 수호의 의지를 지녔던 인물들로서, 시조를 전승한다는 목적의식 아래 자하 신위의 소악부를 전범으로 하여 소악부를 창작하고 『삼가악부』를 편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유승과 원세순은 신위가 그랬듯이, 원시조의 내용과 형식을 충실히 반영하는 형태로 소악부 작품과 그 題名을 창작하였다. 그리고 원세순은 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소악부 작품뿐 아니라 그 원시조들 또한 한글로써 체계적으로 기록하였고, 원시조들의 작가를 비정하여 그 시대순으로 소악부 작품들을 배열하였다. 또한 그는 자신의 소악부 전반부에는 사대부 시조의 전통적인 주제들을 골고루 보여주는 작품들을 싣고, 그 후반부에는 애정과 같은 세속적인 주제를 다룬 작품들을 배열하여, 古調의 고아함과 新調의 생생함을 그의 소악부가 포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삼가악부』는 대한제국기의 격동 속에서 전통문화를 지키고자 노력했던 이유승·원세순 두 작가가 시조 전승이라는 뚜렷한 목적의식 아래 편찬한 책이며, 적절한 작시법과 체계적인 편제를 통해 고시조 선집의 면모를 갖출 수 있었던 의미 있는 결과물임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original text of Samgaakbu, a compilation of the sijo poems, which were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In this paper, I introduced the authors of Samgaakbu and shedded light on the meanings embedded in that book with regard to the history of the sijo genre. Firstly, I made clear of the misprints in Samgaakbu, which is owned by Kyoto University in Japan, and I compared a part of Samgaakbu to the other relevant book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ooks and Samgaakbu. Secondly, I scrutinized the authors of Samgaakbu to find out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m and to figure out their purpose of compiling the book. Finally, I criticized the poems in Samgaakbu to specify their literary aspects and to verify if the authors' goal that I looked into in the previous chapter had been achieved. Through these arguments, I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Samgaakbu as follows. Firstly, Samgaakbu was written by the authors who possessed the will to build up the national identity and to preserve the sijo genre. Secondly, the authors of Samgaakbu adopted the appropriate methods of translation in that they preserved the original contents and forms of the sijo poems and created imaginative title for each sijo. Lastly, Samgaakbu is a well organized anthology of sijo, in which the translated sijo poems were arranged in chronological and thematic order, accompanied by the original sijo texts in Korean characters, hange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