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심수에서 공동체적 연대로: 민주화운동기 인권 이미지의 전환 (From a Prisoner of Conscience to Communal Solidarity : The Transition of Human Rights Image in the Period of Democratic Movemen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8 최종저작일 2020.12
33P 미리보기
양심수에서 공동체적 연대로: 민주화운동기 인권 이미지의 전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권학회
    · 수록지 정보 : 인권연구 / 3권 / 2호 / 1 ~ 33페이지
    · 저자명 : 정근식

    초록

    이 글은 1960년부터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의 민주화운동기에 한국에서 인권의 시각적 이미지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했는가를다룬다. 인권은 일반적으로 자유권으로부터 사회권으로 발전해 간다고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서도 과연 이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인권 이미지가 형성되었는가?1960-70년대 박정희 정부하에서 인권 상황은 매우 열악했고, 또한이의 시각적 형상화도 엄격한 검열로 인하여 거의 불가능했기 때문에인권의 시각 문화는 더디게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에서 인권을주제로 한 그림(인권화)은 1967년 동베를린 사건으로 수감되었던 이응노의 자화상과 1970년대 초반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던 양심수를그린 도미야마 다에코의 판화로부터 출발했다. 인권 이미지는 1980년5 18의 충격으로 극적으로 변화하였는데, 그것은 도미야마 다에코의‘자유 광주’와 홍성담의 ‘대동세상’에서 확인된다. 이들을 관통하고있는 핵심적 주제는 공동체적 연대이다. 이응노의 ‘군상’ 및 ‘통일무’들도 국가폭력에 대한 분노를 넘어서서 공동체에 대한 신뢰와 미래의역사에 대한 희망을 표현한 작품들이다.
    민주화이후 다양한 인권단체들이 설립되면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시각적 이미지들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들이 가진 의미의 연속과 단절은 앞으로의 인권 연구에서 다루어져야 할 주제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escribes how the visual image of human rights wasformed and changed in Korea during the democratization movementfrom the 1960s to the mid-1980s. Human rights are generallyknown to develop from liberal rights to social rights. Has theimage of human rights been formed in Korea as well?Under the Park Jung-hee administration, the human rightssituation was very poor, and its visual representation was almostimpossible due to strict censorship, which made stagnateddevelopment of the visual culture dealing the human rights. Thepaintings on human rights in Korea started with a self-portrait ofLee Ung-no, who was imprisoned in 1968. Tomiyama Daeko alsodepicted a prisoner of conscience in the early 1970s. The image ofhuman rights changed dramatically in the psychic trauma of May18 uprising in 1980, which is confirmed in the “Free Gwangju” byTomiyama Daeko and “Daedongsesang (The Great East World)” byHong Seong-dam. The core theme of the penetrating both of themis communal solidarity. Lee Ung-no's “Gunsang” and “Unificationdance” are works that go beyond anger against state violence,expressing trust in the community and hope for a future history. After democratization, various human rights organizations havebeen established, adopting visual images that reveal their diverseidentities, and the continuation and disconnection of their meaningsis a subject to be addressed in future human rights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