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惺齋 琴蘭秀의 心齋의 추구와 그 의미 (Sungjae Geum Nan-su's Pursuit of Shimjae(心齋) and its mean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4.03
30P 미리보기
惺齋 琴蘭秀의 心齋의 추구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88호 / 165 ~ 194페이지
    · 저자명 : 신소윤

    초록

    본고는 惺齋 琴蘭秀의 마음공부와 이러한 학문적 노력이 시에 어떻게 형상화되었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마음공부와 그 시문학이 지닌 의미를 밝힘으로써 성재를 종합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성재는 退溪의 문인으로, 24세 때부터 『心經』을 접하며 마음공부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마음공부에 있어서 敬을 중시했는데, 특히 顏淵의 ‘心齋’를 닮고자 노력했다. 심재의 마음 상태를 지향하며 虛心을 유지하기 위해 경을 통한 ‘고요함’의 확보와 ‘조장하지 않는[勿助長]’ 태도를 강조했다.
    성재는 꾸준히 일상에서도 마음공부를 도모했으므로, 그의 시에 이에 대한 노력과 성취를 찾아볼 수 있다. 시는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本然之性을 회복하기 위해 비어있으면서도 고요한[虛靜] 상태를 지향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심재의 마음으로 자연을 관조하며 興趣를 느끼는 것이다. 전자는 마음공부의 실천이 적극적으로 나타난다면, 후자는 마음공부가 體化되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그 안에 내재된 즐거움을 나타낸다.
    한편, 성재의 마음공부와 그 시문학이 지닌 의미로서, 현실 인식과 대응 문제를 주목하였다. 성재는 다양한 일상에 관심을 가졌으며, 자신이 마주한 현실에 대하여 도학적 이념을 실천하는 것으로 대응하고자 했다. 즉, 성재는 도학적 세계관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한 것인데, 그 이면에는 실천과 自得이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ungjae's mind study and how these academic efforts were embodied in poetry. In addition, I tri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Sungjae by revealing the meaning of mind study and its poetry literature.
    Sungjae is a writer of Toegye(退溪) and has been interested in studying his mind since he was 24 years old. He emphasized Gyeong(敬) in studying the mind, especially trying to resemble the "Shimjae(心齋)" of Anyeon(顏淵). He maintained his heart by emphasizing the securing of "silence" through Gyeong(敬) and emphasized an "unpromising[勿助長]" attitude.
    Sungjae steadily promoted mental study in his daily life, so he can find effort and achievement in his poetry. Poetry is largely divided into two aspects. One is to pursue a Hujung (虛靜) state in order to restore Bonyonjisong(本然之性) and the other is to see nature with the heart of Shimjae and feel pleasure. The former shows an active practice of mind study, while the latter shows the joy inherent in it, although it is embodied.
    On the other hand, as the meaning of Sungjae's mind study and its poetry literature, the problem of reality recognition and response was noted. He had interested in various things, and wanted to respond to the reality of reality. In other words, Sungjae made an effort to realize a moral worldview, and behind it, it can be seen that practice and self-satisfaction(自得) work importa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