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전문무용수 연구의 성과와 과제: 1988-2019 (Accomplishments of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in Korean Professional Dancers: 1988-2019)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12
18P 미리보기
국내 전문무용수 연구의 성과와 과제: 1988-2019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17권 / 4호 / 119 ~ 136페이지
    · 저자명 : 백영태, 이대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전문무용수에 관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설계에 따른 연구유형, 연구대 상,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기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연구의 성과와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두었 다. 분석대상 연구물은 전체 201편(석사논문 63편, 박사논문 27편, 학술지 111편)이며,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 분석 및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국내 전문무용수에 관한 주요 연 구주제는 직무수행(20.9%), 직무 스트레스(14.8%), 진로전환(12.0%), 정서(7.8%), 동기(7.5%), 운동생리 (6.4%), 안녕감(6.1%), 성격(5.8%), 건강(5.3%) 순으로 나타났다. (2)연구설계에 따른 연구방법론은 양적 연 구가 전체의 71.6%로 질적 연구(18.9%)와 비교하여 훨씬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은 전체 연구 중에서 76.1%가 전문무용수를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전체 연구 중에서 약 40%의 논문이 발레와 한국무용 또 는 현대무용수를 혼합하여 실시되었다. (3)연구대상의 성별에서는 전체의 57%가 남녀 무용수를 대상으로 조사 되었고, 연구대상의 연령대는 20-30대의 전문무용수가 약 28%를 차지하였다. (4)자료수집은 심리검사지가 53.1%, 면담 17.8%, 실험장비 7.0%, 문헌수집 6.6%, 그리고 일반 설문지 6.1% 순으로 나타났다. (5)자료분 석은 양적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분석 기법이 전체의 84.5%, 그리고 질적 자료를 위한 분석방법이 12.3% 를 차지하였다. 이 결과는 국내 전문무용수에 관한 양적 연구성과와 후속 연구방향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ystematically identified key features including topics, research designs, the types of methodology, characteristics of subjects, data collections, and analytical tools in studies on professional dancers published in Korea between 1988 and 2019 in order to provide its major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 for dance researchers. The review examined 201 studies (63 master theses, 27 doctoral dissertations, and 111 research article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cross tabs,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rending topics on professional dancers were work performance (20.9%), stress (14.8%), career transition (12.0%), emotions (7.8%), motivation (7.5%), exercise physiology (6.4%), well-being (6.1%), personality (5.8%), health (5.3%) respectively. (2) In research methodolog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71.6% and 18.9% respectively. In subjects or participants, 71.6% of the studies conducted among professional dances. In the case of dance types, mixed group with ballet, modern, and traditional dancers was found in 40% among the studies. (3) In gender type, 57% of the studies investigated both male and female dancers. The age group of subjects comprised 20-30 years old dancers(28%). (4) Major tools for data collections were psychological inventory (53.1%), interviews (17.8%), experimental equipments (7.0%), documents (6.6%), and some questionnaires (6.1%) respectively. (5) With regard to data analysis, researchers used statistical techniques (84.5%) for quantitative research and deductive or content analysis (12.3%) for qualitative research.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its research accomplishment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