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규제행정법적 관점에서 본 유료방송 인수ㆍ합병의 쟁점 -최근 종합유선방송사업자 인수ㆍ합병 사례를 중심으로- (Issues of Telcos’ Cable Network M&A from the Perspective of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0.04
34P 미리보기
규제행정법적 관점에서 본 유료방송 인수ㆍ합병의 쟁점 -최근 종합유선방송사업자 인수ㆍ합병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과 기업 연구 / 10권 / 1호 / 95 ~ 128페이지
    · 저자명 : 김태오

    초록

    방송ㆍ통신시장에서의 경쟁은 상당히 거세다. 유료방송 인수ㆍ합병은 이러한 거센 경쟁의 한 양태이다. 작년과 올해에 걸쳐 ‘LG유플러스-CJ헬로’, ‘SKB-티브로드’ 등 2건의 방송사업자와 통신사업자간 인수ㆍ합병이 새롭게 추진되었다. 이러한 유료방송 인수ㆍ합병은 공정거래법과 방송법의 규제를 중첩적으로 받는다. 유료방송 인수ㆍ합병에 대해 공정 거래법의 관점에 따른 법적 분석은 상당 부분 이루어졌다. 반면, 규제행정법 관점에서 유료방송 인수ㆍ합병을 규율하는 방송법에 대한 법적 논의는 불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은 유료방송 인수ㆍ합병에 대한 규제인 방송법을 소재로 한 규제행정법의 방법론을 통해 최근 유료방송 인수ㆍ합병 사례를 분석하고, 쟁점별 문제점을 발견한 다음, 그 개선방향을 논의하였다.
    공정거래법과 방송법의 이중적 규제는 그 관점, 근거, 목적, 기능, 정당화 사유, 심사 방향, 절차, 기준 등에 있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정당화된다. 공정거래법은 현존하는 경쟁질서에 대한 위험이 예견되거나 발생했을 때 비로소 소극적으로 개입한다. 방송법은 방송의 공익, 공공성, 다양성, 지역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방송질서의 형성에 중점을 두고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공정거래법은 특히 경쟁제한성을 기준으로 유료방송 인수 ㆍ합병의 허용여부를 판단한다. 방송법은 인허가 진입규제를 근거로 진입규제의 심사사 항을 기준으로 삼아 유료방송 인수ㆍ합병 사안을 바라본다. 이러한 차이는 일반경쟁당국과 전문규제당국 간의 유료방송 인수ㆍ합병에 대한 판단의 재량, 그에 대한 사법심사의 방법과 범위에 있어 차별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실무적으로 유료방송 인수ㆍ합병 절차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선행적 판단이 있은 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의 사전동의 절차를 포함한다)의 판단이 후행한다. 경쟁제한성으로만 국한된 공정거래위원회의 금지결정이 당해 인수ㆍ합병의 긴요성과 긍정적 효과와의 비교형량 과정이 생략된 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전문적 판단 없이 모든 인수ㆍ합병 절차를 종결하였던 불합리한 경험을 겪은 바 있다. 일반경쟁당국과 전문규제 당국의 심사절차를 병행하고, 모든 판단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또한, 경쟁에 대한 일반경쟁당국의 판단과는 독립적으로 전문규제당국의 결정이 가능 하고, 그 판단에는 장래의 경쟁상황과 그 밖의 방송 가치의 특별한 고려가 가미되어야 한다.
    최근 유료방송 인수ㆍ합병의 방식이 서로 상이하여 LG유플러스-CJ헬로 건은 SKB-티 브로드와 달리 방송통신위원회의 사전동의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최다액출자자 승인과 변경허가의 심사기준을 일치시키고 방송통신위원회의 의견을 반영하여 형평성을 기하였 지만, 사업자의 전략적 판단에 좌우되지 않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유료방송 인수ㆍ합병에 대한 전문규제당국의 독자적 심사가 정당화되는 실체적 이유는 방송의 다양성과 지역성이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기준을 명확하게 정립하기 어려운 환경이기 때문에, 부관을 통해 유료방송 인수ㆍ합병으로 우려되는 다양성 및 지역성 제한 사항들을 보완하는 차원이 대응이 불가피하다.
    유료방송 인수ㆍ합병에 부가되는 조건은 유연한 수단이지만, 인수ㆍ합병을 성사시켜야 하는 사업자의 궁박한 상황으로 법치주의, 비례원칙 등의 관점에서 문제될 수 있는 내용이 조건으로 포함될 우려가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소관 범위를 넘는 사항을 조건으로 부가한 사례도 있었다. 이러한 우려들을 충분히 고려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Competition in the Pay-TV and telecom market is still strong. Telcos’ Cable Network M&A is one aspect of this intense competition. In recent years, “LG Uplus-CJ Hello” and “SKB-Tbroad” M&A were promoted. Telcos’ Cable Network M&A is regulated by the Fair Trade Act and the Broadcasting Act. While the legal analysis according to the Fair Trade Act's point of view has been largely made on Telcos’ Cable Network M&A, the legal discussion on the broadcasting law governing Telcos’ Cable Network M&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paper analyzes the recent Telcos’ Cable Network M&A through the methodology of the regulatory administration law, which is based on the broadcasting law, which is a regulation for mergers and acquisitions of paid broadcasting, and finds problems by issues, and discusses ways to improve them.
    The dual regulations of the Fair Trade Act and the Broadcasting Act are justified because they differ in terms of viewpoint, legal basis, purpose, function, reason for justification, direction of examination, procedure, and standards. The Fair Trade Act only passively intervenes when a risk to an existing competitive order is anticipated or arises.
    The broadcasting law actively intervenes with a focus on the formation of a desirable broadcasting order from the viewpoints of public interest, publicity, diversity, and localism of broadcasting. The Fair Trade Act judges whether or not to allow Telcos’ Cable Network M&A based on the competition restrictions. The Broadcasting Act looks at the issues of this M&A on the basis of the regulations of entry for licensing and based on the screening of entry regulations. These differences lead to discriminatory results in the discretion of judging Telcos’ Cable Network M&A between general competition authorities and sector-specific regulatory authorities, as well as the method and scope of judicial review.
    Practically, the approval process for proposed M&A between telecommunication firms and cable network operators is followed by the decision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ncluding the prior consent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fter the prior decision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The Fair Trade Commission's ban decision, only focused on anti-competitiveness, had an unreasonable experience that ended all M&A procedures without balancing process of the criticality and positive effects of the M&A and sector-specific decision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new legal system so that general competition authorities and sector-specific regulators can conduct parallel a review process and make a decision that considers all related factors comprehensive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decisions by sector-specific regulatory authorities independently from that of general competition authorities, and the decisions should take into account future competition conditions and other special considerations of public value of broadcasting. Unlike the SKB-Tbroad, LG Uplus-CJ Hello did not go through the pre-consent process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due to the different ways of merger strategy. Although the review criteria of the approval of the largest investor and the change permission were harmonized and the opinion of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was considered, the legal system needs to be improved so as not to be influenced by the strategic approach of the entity. The practical reason for the independent review of sector-specific regulatory authorities for Telcos’Cable Network M&A is the diversity and localism of broadcasting. However, because it is difficult to clearly set the standard despite its importance, it is inevitable to give conditional approval to back-up the limitations in terms of diversity and localism. The terms and conditions attached to M&A are flexible means, but there are concerns that the contents that may be problematic from the perspective of general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law such as the rule of law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some cases, the Fair Trade Commission added conditions beyond the jurisdiction. It is thought that a response that sufficiently takes these concerns into account is necess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