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蕨手型 有刺利器의 變遷과 意味 (A Study on the Egged Tool with Barbs of the Eastern Nakdong River Are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1.12
38P 미리보기
蕨手型 有刺利器의 變遷과 意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81호 / 39 ~ 76페이지
    · 저자명 : 김훈희

    초록

    본고에서는 낙동강 동안지역에서 다수 확인되는 蕨手型 有刺利器를 대상으로 變遷과 副葬 意味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유자이기의 출현은 3세기대에 판상철부를 소재로 한 것에서 출발하지만, 이후 鐵鋌을 소재로 한 유자이기가 판상철부 소재 유자이기를 대신하여 제작되고, 일정한 방향성을 보이며 변화하면서 낙동강 동안 전역으로 확산된다.
    유자이기의 변천은 蕨手型 刺 형태, 刃部 幅, 身部 형태 등 세 가지의 속성에서 잘 드러나며, 속성분석 결과 변천과정은 7기로 나뉜다. 유자이기는 그 소재가 되는 철정의 변화에 따라 소형화되고 자의 형태도 점차 단순화되는 특징이보인다. 한편 변화과정에 있어서도 일부 지역적 차이가 보인다. 이른 시기로 편년되는 유자이기의 경우 규모나 부장품에 있어서 우월한 부장양상을 보이는 대형분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피장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의미를가지고 부장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위세품으로서 권위는 점차 약해지고 대형분에서 소형분까지 전반적으로 부장된다. 형태에 있어서도 소형화, 단순화되며 석실분 단계부터는 점차 소멸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판상철부를 소재로 하여 공부는 있지만 궐수형 자가 없는 형태의 鑿形鐵器와 板狀鐵器는 궐수형 자를 제외한 나머지형태로 보면 유자이기와 매우 유사한데 이러한 철기는 그 형태상 살포의 조형이라 할 수 있다. 궐수문양 장식의 철기는 목관묘 단계의 마구류에서 처음 확인되고, 목곽묘 단계에서는 철검, 철모, 철부, 철겸 등에서 확인된다. 다양한 철제품에 궐수형 장식이 추가되는 현상은 궐수문양이 가지는 상징성으로 보아 의기적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궐수형 유자이기는 피장자의 경제 권력을 상징하는 살포라는 위세품에 궐수형 장식이라는 제의적 의미가 더해져 만들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egged tool with barbs’ is generally known as an iron artifact which has a wooden bar socket at the bottom, bracken, spine or bird decorations, and which is symmetrically edged with rectangular iron plates. The bracken decoration appeared under the influence of bronzeware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first use of decorative bracken on an iron object was its application to harnesses in the wooden coffin tomb stage. Subsequently, upon entering the wooden chamber tomb stage, the decorative bracken was used for ritual objects and was gradually extended to a variety of artifact types.
    The ornaments attached to the body of the egged tool with barbs could be sorted into those shaped like a bracken or those shaped like a spine. Egged tools with barbs with decorative bracken were distributed mainly in the eastern region of the Nakdong River.
    The egged tools with barbs originated from flat iron axes around the 3rd century CE. From 4th century, iron ingots were used in the egged tools with barbs, and the changes observed in egged tools with barbs showed a certain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is article, the diachronic change of egged tools with barbs using iron ingots is presented through a stylistic study.
    Three time-sensitive attributes were extracted for chronological recording. The chronological recording consisted of 7 stages and time of appearance, and showed a similar pattern of change with the chronological recording of earthen wares or ancient tombs.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this classification in the chronological recording of iron wares, but not earthen wa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