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동산 관련 세제상 보유주택 수(數) 판단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Problems and Proposals for Improvement regarding the 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Houses owned in the Real Estate-Related Tax System)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8
40P 미리보기
부동산 관련 세제상 보유주택 수(數) 판단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방세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세논집 / 8권 / 2호 / 23 ~ 62페이지
    · 저자명 : 정혜윤, 박훈

    초록

    2017년 8. 2. 대책 이후 취득・보유・양도의 모든 단계에서 1주택 보유에 비해 다주택을 보유한 세대에 대해 높은 세율을 적용하고, 비과세 특례 및 각종 공제를 배제하는 방법으로 차별 과세하는데 이르렀다. 이러한 중과세 제도의 시행에는 납세자가 보유한 주택의 수를 판단하는 것이 선결 과제이다. 그러나 지방세법의 경우 공부상의 용도를 중시하는 반면, 소득세법에서는 사실상 주거로 사용되는지를 판단 기준으로 삼았기에 주택의 정의의 출발부터 차이가 있었고, 국세와 지방세의 이원화된 체계로 인해 그 해석과 과세상 취급이 제각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에서는 오피스텔, 별장, 빈집, 주택의 부속토지 및 공유지분의 5가지 재산을 사례로 설정하여 현행 세법 내에서의 판단의 어려움과 복잡함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오피스텔, 별장, 빈집은 당초부터 주거를 목적으로 건축되었으나, 각 세목에서 공부상 용도, 실질적인 이용 현황, 주거 목적으로 이용이 가능한지 등을 판단 기준으로 정하고 있어, 각 세목에서의 결론이 상이하다는 난해함과 불공평함이 존재한다. 또한 주택의 부속토지와 공유지분에 대한 각 세법의 규정 차이를 보완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둘러 이를 모두 주택으로 간주하도록 추진한 탓에, 보유주택 수 산정에 혼란이 존재하고 납세자의 신뢰 보호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각 세법에서 주택의 정의를 다르게 규정할만한 타당성을 갖기 위해서는 경제적 배경이 다양하여 이를 규율하기 위한 세부적 기준이 필수적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글에서 사례를 검토한 바, 현행법의 복잡한 규정은 오히려 변화하는 주거형태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법령 이용자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인한 예측가능성 저하와 납세자간의 불공평, 그리고 과도한 행정비용을 유발한다.
    이 글에서는 개선방안으로써 취득, 보유, 양도의 단계에서의 주택의 정의를 통일할 것을 제안한다. 그 기준으로 공부상의 용도를 우선으로 하고, 주거용으로 이용가능한 시설을 구비한 건축물은 모두 주택으로 동등하게 취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 외에도 부속토지와 공유지분에 대해서는 소수지분을 보유한 경우에도 주택으로 간주하여 중과세할 것인지에 대해 방향을 명확히 하여야 하고, 법 시행 이전부터 이를 보유하고 있던 납세자에 대한 소급적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신뢰를 보호하여야 하며, 1세대가 보유한 지분의 합산 기준을 명시하는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After the government’s policy announcement on August 2. 2017, through all stages including acquisition, holding and transfer, a higher tax rate is applied to households with multiple houses compared to those with one house. In addition, special tax exemption provisions and various deductions are excluded for owners with multiple houses. That is, discriminatory taxation is applied to those who own multiple hous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heavy tax system, determining the number of houses owned by the taxpayer is a prerequisite. However, in the case of Local Tax Act, the use recorded in the public books is considered the first decision factor. In Income Tax Act, the criterion is whether it is actually used as a residence.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finition of a house from the start. And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axation have been separated because of the separate system of national and local taxes.
    This study selected five property cases including officetels, villas, vacant houses, land attached to the house, and portion in co-ownership, and then examined, in detail, the difficulties and complexities of decision making, within the current tax law. Officetels, villas, and vacant houses were built for residential purposes from the beginning, but each detailed item determines whether it can be used for residential purposes, the use on the public books, and the actual usage status. Therefore, the conclusion is different in each detailed item, which leads to difficulties and inequities. Confusion also arises when determining the number of homes owned, and the trust of taxpayers is not adequately protected because the difference in the provisions of each tax law on the attached land and portion in co-ownership of a house has not been corrected and these are all considered as houses.
    In order for each tax law to properly define the definition of housing, a consensus must be formed that detailed standards for regulating various economic backgrounds are essential.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 complex provisions of the current law do not reflect the changing housing types. In addition, the subjective judgment of users regarding laws reduces predictability and causes unfairness among taxpayers and excessive administrative costs.
    This study proposes to unify the definition of housing in all stages of acquisition, holding and transfer as an improvement plan. As a criterion,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use recorded in the public book is the preferred criterion, and that all buildings with facilities available for residential use are treated equally as housing. In addition, for attached land and portion in co-ownership, if minority shares are held, it should be clearly defined whether they are considered housing and subject to heavy taxation. Also improvement is needed. For example, there should be no retrospective application to taxpayers who owned houses before the law came into force to protect trust, and the criteria for the sum of the shares held by one household should be spec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