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광수 초기문학담론과 『무정』의 '근대성' 연구 -'문학' 개념의 확정, '주체'의 재구성, 감각의 '묘사'를 중심으로- (The early literature discourse of Lee Kwang Su(李光洙) and the study on the modernity of Mujuong(無情))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8.08
51P 미리보기
이광수 초기문학담론과 『무정』의 '근대성' 연구 -'문학' 개념의 확정, '주체'의 재구성, 감각의 '묘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25호 / 169 ~ 219페이지
    · 저자명 : 김학면

    초록

    최근 한국 문학의 ‘근대성’에 관한 연구 동향은 ‘탈식민’, ‘탈근대’, ‘오리엔탈리즘’ 등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들 연구의 방법과 개념은 문학, 주체, 묘사 등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정』과 이광수의 초기 문학담론을 함께 논의하는 노력은 미흡하다.
    이 글의 목적은 한국근대소설에서 새로운 지평을 연 것으로 평가 받고 있는 『무정』의 ‘근대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는 이광수 초기 문학담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의 초기 문학담론은 ‘문학’ 개념의 획정, ‘주체’의 재구성, 감각의 ‘묘사’를 강조한다. 이런 특성이 『무정』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면, 한국소설의 근대성을 탐색하는 작업은 더욱 정교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대성’은 개개인의 자유와 평등이 인정될 때에만 존재한다. 개인의 자유와 평등은 ‘주체’ 구성의 요건이다. 그것은 한 개인의 자신에 대한 관계를 만들며, 지배적인 힘이 개인을 통제할 때에 중심점으로 작동한다. 한 개인의 삶은 외부로부터 결정된 사건들의 연속이 아니므로 주체의 구성은 개별화를 구성하려는 의지이다. 주체는 통일성이라는 하나의 원칙이나 개인이 스스로를 구성하려는 노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타자’의 승인을 필요로 한다. 주체는 타자의 승인과 더불어 개인적 자유와 평등의 제도적 조건들이 마련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근대성’의 핵심으로 인정할 수 있다면, 이광수의 초기 문학담론은 무엇 때문에 문학, 주체, 묘사의 문제에 고심하였는가를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무정>이 문학, 주체, 감각 등의 개념과 연관 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면, <무정>의 ‘근대성’이 지니는 특징이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recent studies on modernity in Korean literature have a tendency to focus on "postcolonialism", "postmodernism" and "orientalism". The methods and concepts of these studies have a close relation to literature, subject and description. Nevertheless, our efforts to Mujuong(無情) along with the early literature discourse of Lee Kwang Su(李光洙) are unsatisfactory.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modernity' of Mujuong(無情), appreciated as giving a new horizon in modern Korean novel. To serve this purpose, I cannot but pay attention to the early literature discourse of Lee Kwang Su(李光洙). His early literature discourse put emphasis on delimitation of literature concept, reconstruction of the subject and the description of sensibility. If we could ascertain how above mentioned characteristics are put into shape, the efforts to investigate the modernity of Korean novel would be more exquisite.
    Generally speaking, we could say that the modernity can be existent so long as individual freedom and equality are acknowledged. Individual freedom and equality are essential elements of the construction of 'subject'. Not only do they form a connection with individual himself, but they could take a pivotal role if external suppressing power held individual under control. The construction of 'subject' can be said to be manifestation of one's own will in constructing individualization ,in that the life of individual is not a series of events determined by others. The 'subject' requires the approval of others because the 'subject' doesn't consist of either a principle of unity or endeavor of constructing individual himself. In addition to the approval of others, the subject demands setting up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of individual freedom and equality.
    If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recognized as the core of modernity, we would understand why he applied himself to literature, subject and description. If we could ascertain the correlation between Mujuong(無情) and the concepts of literature, subject and description, we could testify concret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ity' in Mujuong(無情).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