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학습 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learning Korean through Shortform video on the learning-related factor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9
16P 미리보기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학습 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1권 / 17호 / 617 ~ 632페이지
    · 저자명 : 박지연, 유훈식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최근 외국어 교수⋅학습 도구로서 주목받고 있는 뉴미디어 중 숏폼(shortform)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TikTok)을대상으로 하여 기존 한국어학습과 비교 분석하였다. 한편, 틱톡(TikTok)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학습 관련 요인(학습내용, 효능감, 몰입, 불안, 학습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 학습자의 학습 유형 및 성별에 따라 영향력이 달라지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어 관련 교육 프로그램(ex: 대학 부설 어학당, 사설 학원/ 독학 제외) 참여 경험이 있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55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중 틱톡 한국어수업 영상을 시청하게 했으며, 바로 이어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틱톡 한국어수업 영상과학습 관련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학습 내용, 몰입도, 불안, 효능감, 만족도에 대한 설문 문항을 구성했다. 다섯 가지종속 변수에 대해 두 집단(기존 한국어 교육-숏폼(shortform)을 통한 한국어 교육)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T-test를 실시했다. 다음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두 가지 한국어 학습 유형(드라마 및 영화 활용 선호, 집단 내에서의 활동 선호)이숏폼(shortform)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식에 따른 다섯 가지 종속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모두연속형 데이터로 SPSS의 선형 회귀 분석 방식을 통해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다섯 가지 요인 모두에 대해 기존 한국어학습이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학습에 비해 효과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습 내용의 경우 결과값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한국어학습에 비해 틱톡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여성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틱톡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할 때 남성에 비해 여성 학습자들의 몰입도가 크게 높아지며 불안감이 많이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드라마 및 영화를 통한 학습을 선호하는학습자의 경우 틱톡을 통해 한국어학습을 했을 때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및 몰입도가 높아졌고 불안은 감소했다. 한편, 그룹 학습을선호하는 학습자의 경우는 틱톡한국어학습을 통해 불안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결론 본 연구는 숏폼(shortform) 동영상과 관련한 한국어교육 연구가 아직 전무한 가운데 처음 시도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또한,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교육⋅학습이 학습자들의 학습 유형 및 성별에 따라 어떤 영향을 주며 학습 관련요인들에 따라 그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밝힘으로써 앞으로 틱톡을 통한 한국어학습 콘텐츠를 개발해 나가는 데 참고할 수 있는좋은 자료를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새로운 학습 환경이니만큼 기존 학습 환경과 비교했을 때 학습자들의 정의적 요인에도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여 함께 살펴본 것 역시 의미있는 시도였다고 생각한다. 학습자 중심 교육에 있어 꼭 필요한 여러 요인들을살펴봄으로써 향후 틱톡 한국어수업 콘텐츠 개발에 참고 자료로 잘 사용되리라 본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raditional learning and learning through a short-form video such as TikTok, one of the new media drawing attention as a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ool. Studies on students' individual factors, learning performance, and other learning-related factors have been on the rise. In respon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earning Korean through TikTok on the learning-related factors(content, self-efficacy, flow, anxiety, and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explores if the effects change depending on the learners' learning style and their gender.
    Methods 55 foreign Korean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watched the TikTok Korean language class video in April 2021, followed by an online survey.
    Results Comparing th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learning and the learning with a short-form video, under standing the contents was higher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at had different learning methods was remarkable. The results were especially significant for the learning content.
    Considering more than half(69.1%) of participants of this experiment were advanced learners, it is expected that the advanced learn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ontent of TikTok videos having beginner-level content in general. Therefore, more content that fits the language proficiency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s required. Secondly, Learning Korean through TikTok had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the affective factors of female learners than traditional learning. In other words, Female learners' learning flow increased, and the anxiety decreased notably compared to men. Lastly, when the learners who prefer to study through dramas and movies learned Korean through TikTok, their understandings of the contents and their learning flow increased while their anxieties decreased. Also, the learners who prefer to study in groups significantly had lower anxiety when they learned using TikTok.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first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short form video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epare good materials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learning con tents through shortform video in the future by showing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through shortform videos affect learners' learning type and gender. In particular, it was also a meaningful attempt to find out whether learners' affective factors change in a new learning environment compared to their previous learning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