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숏폼 동영상 기반 SNS 마케팅이 무용공연의 지각된 가치와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국 무용공연 숏폼 동영상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Short-Form Video-Based SNS Marketing on the Perceived Value and Attendance Intention of Dance Performances: Focusing on the Chinese Dance Performance Market)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5.04
23P 미리보기
숏폼 동영상 기반 SNS 마케팅이 무용공연의 지각된 가치와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국 무용공연 숏폼 동영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예술경영학연구 / 18권 / 1호 / 93 ~ 115페이지
    · 저자명 : 왕만, 정우정

    초록

    본 연구는 숏폼 동영상 기반 SNS(Social Network Service) 마케팅이 무용공연에 대한 관객들의 지각된 가치와 관 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중국 무용공연 시장에 실무적인 데이 터를 제공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주요 변수를 숏폼 동영상 특성(오락성, 친근성, 단시성), SNS 마케팅 특성(정보 성, 접근성, 상호작용성), 지각된 가치 및 관람의도로 설정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SNS에서 중국 무용공연 관 련 숏폼 동영상을 시청한 경험이 있는 관객을 대상으로 2023년 9월 23일부터 10월 2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중국 온라인 설문조사 플랫폼 WJX(https://www.wjx.cn/)를 활용하여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불성실 한 응답 62부를 제외한 288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Statistics 29.0 프로그램을 활용하 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숏폼 동영상 특성 중 오락성(β=0.234, <0.001)과 친근성(β=0.168, <0.05)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단시성(β=0.091, >0.05)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SNS 마케팅 특성 중 정보성(β=0.171, <0.05)과 접근성(β=0.246, <0.001)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작용성(β=0.058, >0.05)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각된 가치(β=0.507, <0.001)는 관람의도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무용공연의 지각된 가치가 높을수록 관객들의 관람의도가 증가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중국 무용공연 시장에서 숏폼 동영상 기반 SNS 마케팅이 관객들의 가치 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공연의 홍보 전략 및 관람 촉진 방안을 제 안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연 장르 및 SNS 플랫폼을 고려한 심층적 분석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short-form video-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NS) marketing on the perceived value of dance performances and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on audience attendance intention. By doing so, this research provides practical data for the Chinese dance performance market and offers strategic insights for its sustainable development.
    To achieve this objective,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and key variables were identified, including short-form video characteristics (entertainment, familiarity, brevity), SNS marketing characteristics (informativeness, accessibility, interactivity), perceived value, and attendance intention.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3 to October 25, 2023, targeting audiences who had previously watched short-form videos related to Chinese dance performances on SNS.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via the Chinese online survey platform WJX (https://www.wjx.cn/), and 288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62 unreliable respon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9.0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hort-form videos, entertainment (β=0.234, <0.001) and familiarity (β=0.168, <0.05)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whereas brevity (β=0.091, >0.05)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Second, regarding SNS marketing characteristics, informativeness (β=0.171, <0.05) and accessibility (β=0.246, <0.001)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perceived value, while interactivity (β=0.058, >0.05) had no significant impact. Third, perceived value (β=0.507, <0.001)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attendance intention,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value of a dance performance, the greater the audience's willingness to atten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short-form video-based SNS marketing on audience percep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the Chinese dance performance marke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strategic recommendations for dance performance promotion and audience engagement are proposed.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a broader range of performance genres and SNS platforms to provide a more in-depth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