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리스 블랑쇼의 ‘바깥에서 사유하기’ 방법의 교육적 의의 - 언어와 이미지를 중심으로 -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Maurice Blanchot’s Method of ‘Thought from Outward’: a focus on language and imag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8.12
12P 미리보기
모리스 블랑쇼의 ‘바깥에서 사유하기’ 방법의 교육적 의의 - 언어와 이미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사교육연구 / 57권 / 4호 / 617 ~ 628페이지
    · 저자명 : 양지원, 김회용

    초록

    인간은 언어로 세계를 구분 짓고 대상을 개념화 한다. 언어를 통해 사유하고 소통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그 언어의 구속력이나 폭력성을 인지하지 못한 채, 언어가 지배하는 의식적 표준만을 따라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세계의 흐름 속에서 언어의 한계에서 벗어나 언어의 바깥을 사유하고자 한 블랑쇼의 철학적 관점은 오늘날 우리 교육에 새로운 인식의 전환점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보이는 것, 실재하는 것에 의존하여 시각적 이미지에 권위를 부여하는 문화 속에서 블랑쇼의 바깥의 사유는 비실재하는 것을 주목하게 만든다. 대상의 외부가 아닌 내부, 중심에 집중하는 것으로, 자연적인 상태의 이미지로 사유하는 것이다. 블랑쇼의 언어의 바깥, 즉 이미지로 사유하기의 방법은 오늘날 보이는 것, 실재하는 것 등 언어에 의존된 교육 방법적 측면에서 언어의 관념적 경계를 허물고, 이미지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사고할 필요성과 그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블랑쇼에 대한 연구는 현 우리의 교육에 주는 의의를 고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영어초록

    As human beings we understand the world around us through language and conceptualize objects. This understanding is based on a set of conscious standards dominated by language and often without recognizing the binding force or aggression of language. In a world prompted by this trend,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f Blanchot that intends to reason the outward (la pensée du dehors) of language beyond the limitations of language can constitute a new turning point in our education today. In a culture of giving authority to visual images with dependence on what is visible and what is real, Blanchot’s “thought from outward" calls our attention to the nonexistence. It is to reason with the image in its pristine state, focusing on the inward and the center of the object, rather than the outward. The outward of Blanchot’s language, i.e., the way of reasoning with image, shows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reasoning with a new viewpoint called image, breaking down the conceptual boundary of language in a context of educational method which is dependent upon language such as what is seen today and what is real. In this regard, studies on Blanchot provide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our present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