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기 배려로서의 미디어 고백: 1990년대 말 치유문화와 토크쇼를 중심으로 (Media confession as the care of the self: Focusing on therapeutic culture and TV talk show in the late 1990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0.01
40P 미리보기
자기 배려로서의 미디어 고백: 1990년대 말 치유문화와 토크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방송학보 / 34권 / 1호 / 152 ~ 191페이지
    · 저자명 : 유지윤

    초록

    본 연구는 푸코의 이론과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미디어를 통한 자기 고백이 예속화하는 권력의 기술일 뿐만 아니라, 권력에 저항하는 자기 배려의 기술임을 주장하고, 미디어 고백을 둘러싼 제반조건들 ─고백하게 하는 권력/지식, 말할 수 있는 장소, 그리고 고백을 듣는 타자들의 존재 등─을 탐색한다. 특히 이 연구는 여성들의 미디어 고백이 가진 이중적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KBS 토크쇼 <아침마당>의 ‘부부탐구’ 코너 텍스트를 1990년대 초부터 성장하기 시작한 치유문화와 심리전문가들의 담론과 연결지어 분석한다. 전문가와의 상담 포맷을 통해 여성들의 고백 실천을 합법화시키는 ‘부부탐구’ 코너는 심리전문가의 언어를 통해 IMF 외환위기를 남편과 아내의 정서적 문제로 환원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여성들은 전문가와 남편 사이에서 벌어지는 진실게임에서 자신의 진실을 고수하기 위해 전략적 말하기를 실천했으며, 그들의 가시화된 신체와 발화행위는 여성 시청자들의 또 다른 고백을 불러 일으켰다. 이 연구는 여성들의 고백 전략과 그 고백을 가능하게 만들고, 특정한 방향으로 틀 지우는 권력/지식 사이의 복잡한 역학관계에 주목함으로써, 여성들의 미디어 고백이 갖는 이중적 측면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By analyzing Foucault’s theory and TV talk show, this study argues that self-confession through media is the care of the self resisting power relationships as well as the technology of power and looks at conditions which construct the media confession such as power/knowledge of psycho-science, media space as reconciliation room and relationships with listeners. In detail, this study, in order to reveal dual meanings of women’s media confession, analyzes a KBS talk show entitled Morning Yard and psy-experts’ discourses which have become popularized since the early 1990s. As a result, Couple Research, a segment of Morning Yard, reduced national economic crisis to a husband and wife’s emotional problems through experts’ interpretation. However, wives who appeared on the talk show confessed their private issues strategically to stick to their own truth in the truth game between their husbands and experts. Also, their visualized bodies and locutionary acts gave an impetus to other female viewers, which made the female viewers confess. By revealing the complex power relations between women’s confession strategy and experts’ power/knowledge, this research emphasizes resistive aspects of women’s media conf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