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업 전문성과 교수성찰: 쇤의 실천적 성찰을 중심으로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and Teaching Reflection: Focused on Schön’s Reflection-in-practic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8.06
18P 미리보기
수업 전문성과 교수성찰: 쇤의 실천적 성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도덕교육연구 / 30권 / 2호 / 91 ~ 108페이지
    · 저자명 : 장지선

    초록

    과학적 접근에서의 교사의 전문성은 수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이 무엇인가로 규정된다. 수업을 하나의 객관화된 틀로 파악하는 과학적 접근의 방식이 가지는 한계는 수업 주체가 되는 교사의 역할을 그가 가진 기술들을 활용하여 잘 달성하기만 하면 그만인 수동적인 존재로 파악한다는 데에 있다. 쇤의 실천적 성찰은 문제적 실천의 상황들에 대처할 수 있는 실천가의 예술성과 같은 암묵적 능력을 그 핵심으로 본다는 점에서 교사의 역할을 새롭게 규정할 대안적 관점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는 쇤의 ‘실천적 성찰’의 개념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교육에서 ‘반성’이 갖게 되는 올바른 의미와 가치를 드러내 보이고, 교육이론의 관점에서 수업전문성과 관련된 교수성찰의 의미를 새롭게 규정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쇤의 인식론이 갖는 교육학적 의미는 교과 지식을 가르치는 방법이 그 내용을 가르치고 난 뒤에 그것과는 별도로 가르치거나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교과의 내용을 가르치거나 배우는 동안에, 바로 그 내용을 다루는 방식으로서 ‘동시에’ 가르치거나 배울 수밖에 없다는 점을 확인시켜 준다. 교사는 교과지식을 가르치면서 동시에, 실천적 성찰을 수행하는 ‘실천적 성찰가’이며, ‘실천적 성찰’은 교사 스스로 자신의 교수활동이 가치 있는 행위가 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는 마음의 역동성이자, 온전한 의미에서의 교수 성찰이다.

    영어초록

    From a scientific approach,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is determined by the professional knowledge or skills required for a teach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lessons. Such scientific approach that evaluates lessons based on an objectified framework has the limitation that it views the teacher’s role, which is the essence of the classroom instruction, as a passive agent that only needs to utilize the skills for achieving the goals. Schön’s reflection-in-practice provides alternative perspective that can define the role of teachers in that the practitioner’s implicit skills, similar to artistry, to cope with problematic situations are viewed as the key.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reveal the meaning and value of ‘reflection’ in education and redefine the meaning of teaching reflection related to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theories by examining the concept of Schön’s ‘reflection-in-practice’. Schön’s epistemology has the pedagogical implication that the method of teaching subject matter is not something to be taught or learned separately after class, but it is what must be taught or learned ‘simultaneously’ during the instruction. Teachers are ‘reflective practitioners,’ who teach the subject matter and simultaneously perform reflection-in-practice.
    ‘Reflection-in-practice’ is the dynamics of a teacher’s mind to strive endlessly to transform their instructions into valuable activities. It is the teaching reflection in a holistic sen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