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쇠살모사 Red-tongued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의 먹이 이용 (Foods Use of the Red-Tongued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4.12
7P 미리보기
쇠살모사 Red-tongued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의 먹이 이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28권 / 6호 / 657 ~ 663페이지
    · 저자명 : 김병수, 오홍식

    초록

    이 연구는 2006년 5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제주도와 부속도서인 가파도에 서식하는 쇠살모사의 먹이원과 지역에 따른 먹이이용의 차이를 밝혀 먹이원의 차이가 쇠살모사의 생활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제주도 개체군에서 확인된 먹이원은 왕지네(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제주도롱뇽(Hynobius quelpaertensis), 청개구리(Hyla japonica), 맹꽁이(Kaloula borealis), 북방산개구리(Rana dybowskii),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도마뱀(Scincella vandenburghi), 대륙유혈목이(Amphiesma vibakari), 작은땃쥐 (Crosidura shantungensis), 한라산뒤쥐(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제주등줄쥐(Apodemus chejuensis) 등으로 양서류나 파충류 및 소형포유류를 주로 포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양서류가 55.2%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포유류 20.7%, 지네 13.8%, 파충류 10.3% 순이었다. 이와 달리 가파도 개체군에서는 지네와 도마뱀만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네나 도마뱀은 작은 크기라 1회 포식으로 얻을 수 있는 영양분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주도 개체군에 비해 생장이나 생식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가파도 개체군의 경우 이용할 수 있는 먹이원의 종류는 비교적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도마뱀과 지네만을 주로 포식하는 것은 다른 먹이원의 밀도가 낮아 이를 찾기 위한 노력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질은 낮지만 쉽게 구할 수 있는 먹이를 선택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뱀은 머리의 크기가 클수록 큰 먹이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데, 제주도 개체군에서도 쇠살모사의 머리의 크기와 먹이의 직경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제주도 개체군은 수컷이 암컷보다 머리가 크며, 이러한 결과는 먹이의 선택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된다. 반면, 지네와 도마뱀만을 포식하는 가파도 개체군에서는 머리 크기와 먹이 크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같은 종이라도 서식장소에 따라 이용가능한 먹이원을 선택하여 각기 다른 방향으로 환경에 적응하면서 개체군을 유지하는 데 유리한 방향으로 성장해간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매우 의미 있는 자료라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feeding habits of Red-Tongued Viper Snakes, according to available foods sources and areas. The effects of differences in food sources were found on Red-Tongued Viper Snake inhabited in the Jeju Island and its islet Gapado, from May 2006 to Nov. 2010. The food sources for the Red-Tongued viper snake population in the Jeju Island were found to be as follows: Chinese red-headed centipedes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Jeju Salamanders (Hynobius quelpaertensis), Japanese tree Frogs (Hyla japonica), Narrow-mouthed Toad (Kaloula borealis), Dybowski's Brown Frogs (Rana dybowskii), Black-spotted Pond Frogs (Rana nigromaculata), Smooth Skinks (Scincella vandenburghi), Asian Keelback Snakes (Amphiesma vibakari), Lesser White-toothed Shrews (Crosidura shantungensis), Hallasan Shrews (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and Jeju Striped Field Mice (Apodemus chejuensis). This implies that Red-Tongued Viper Snakes mainly feed on amphibians, reptiles, and small mammals. Among these, amphibians occupied the highest portion at 55.2% followed by mammals at 20.7%, centipedes at 13.8%, and reptiles at 10.3%. On the contrary, Red-tongued viper snake population in Gapado only feed on Chinese red-headed centipedes and Smooth Skinks (S. vandenburghi). Since only a small amount of nutrient can be obtained from Chinese red-headed centipeds or Smooth Skinks, this feeding habit for Red-tongued viper snake would adversely effect on the growth or regeneration. The reason why Red-Tongued viper snake population in the Gapado mainly feed on Lizard and Centipedes in spite of relatively various available food sources, might be due to the low density of other food sources in the Gapado. Red-Tongued viper snake could be feeding on foods that are low in quality but are easily accessible,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on searching for other more nutritious foods. A snake tends to select the size of its food depending on the size of its own head.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ize of the heads of Red-Tongued viper snakes from the Jeju island and the diameter of their foods. The head size was larger in the males than females in viper snake population from the Jeju Island, which might effect on their selection of food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izes of the head and the food in the Red-Tongued viper snake population from the Gapado.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meaningful data, which directly shows that even within the same viper species they choose different available food sources according to their inhabitance. This leads to their growth and adaptation to their environment which is beneficial for sustaining of its pop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환경생태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