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울산쇠부리소리의 전승 양상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Soeburi-Song’ in Uls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8.08
30P 미리보기
울산쇠부리소리의 전승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37호 / 157 ~ 186페이지
    · 저자명 : 양영진

    초록

    울산 쇠부리소리는 1981년 8월 달천철장의 마지막 불매대장인 故 최재만(1987년 별세)의 구술과 소리를 바탕으로 1980년대에 재연된 소리이다. 본 고는 1981년 영상 등 총 13종의 자료를 바탕으로 쇠부리소리를 음악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전승 과정에서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둔 논문이다.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017년 쇠부리소리 자료를 살펴본 결과, 풍물패는 상쇠, 부쇠, 징2, 북4, 장구4, 태평소1로 구성되어 있고, 장단은 질굿, 자진모리, 다드래기, 덧배기, 자진덧배기의 5종을 친다. 가창곡은 3소박 4박자의 덧배기·자진덧배기 장단에 맞추어, 또는 무장단으로 부른다. 구성음은 대부분 Mi-La-do의 3음 또는 Mi-La-do-re의 4음으로, 음역은 1옥타브를 넘지 않는다. 종지음은 모두 La로 동일하다.
    1981년 발굴 이후 오늘날까지의 쇠부리소리 연행을 살펴본 결과, 크게 4가지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악곡의 구성이 ‘긴-자진’으로 분화되고, <금줄소리>, <애기 어르는 소리>, <성냥간 불매소리>가 첨가되었다. 둘째 가창 방식은 1980년대 재연 이후 ‘1인 선창자+다인 후창자’를 기본으로, 1인 후창자를 별도로 지정하기도 하였다. 더불어 2013년 연행된 <자진불매소리>는 <성냥간 불매소리>의 토대가 되었다. 셋째 <긴-자진 불매소리>의 선율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박자구조는 모두 3소박 4박자이나, 속도가 느려지고, Mi-La-do의 3음을 골격으로 높은 re와 낮은 Sol이 첨삭되어 메나리토리의 특성이 명확히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풍물 악기는 꽹과리, 징, 장구, 북의 사물이 주로 쓰이며, 공연에 따라 소고, 태평소, 요령 등을 첨가하기도 한다. 장단은 자진모리, 다드래기, 덧배기, 자진덧배기 장단을 처음부터 연주했으며, 이후 질굿 장단이 추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최초 발굴 당시, <애기 어르는 소리>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불매소리>가 남성 노동요로 목적이 바뀌고 연희성이 강해지며 하나의 공연 예술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Ulsan Soeburi‐song was reenacted in the 1980s based on the testimony and songs of late Choi Jae‐man (1987 death), the last blacksmith of the iron production plant at Dalcheon‐dong, Ulsan in August 198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eburi‐song from the musical perspective based on 13 kinds of data including video in 1981, and confirm the changing patterns in the tradition process. The deriv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Soeburi‐Song data in 2017, the percussion instruments consist of kkwaenggwari 2 (leading small gong 1, follow‐small gong 1), jing 2 (large gong 2), buk 4 (drum 4), janggu 4 (double‐headed drum 4), taepyongso 1 (Korean shawm 1), and Jangdan (rhythm) consists of five such as Jilgut, Jajinmori, Dadeuraegi, Deotbaegi, Jajin‐Deotbaegi. The vocal songs are sung accompanied by the Deotbaegi‐Jajin‐Deotbaegi (beat) of quarter‐small triplet time, or without accompaniment. The scale is mostly Mi‐La‐do's third note or Mi‐La‐do‐re's fourth note, and the range does not exceed one octave. All the cadence tones are the same as La.
    From the results of observing Soeburi‐song performance until today after the excavation in 1981, it is found that there are four major changes. First, the composition of the music is differentiated into ‘long‐Jajin (slow‐fast)’, and <geumjul‐sori; a straw rope that is hung across a gate to mark the interior as taboo to outsiders and prevent evil spirits from entering>, <Aegieoreuneun‐song (lullaby)>, and <Seongnyanggan; Blacksmith; Bulmae‐song> are added. Second, the singing method is based on 'single cantor + multi post‐singers' since 1980's reenactment, and a single post‐singer was also specified from time to time. In addition, <Jajin Bulmae‐song>, which was performed in 2013, became the foundation of <Seongnyanggan Bulmae‐song>. Third, a melodic change of <long‐Jajin Bulmae‐song> was observed. All beat structures are quarter‐small triplet time, but the speed gets slow, Mi‐La‐do's three notes are skeletonized to be corrected with high re and low sol,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Menari‐tori (the mode appeared in the ea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are to be clear. Lastly, the four percussion instruments such as kkwaenggwari, jing, janggu, and buk are frequently used, an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sogo (hand drum), taepyongso, yoryeong (bell) are also added. Jangdan played Jajinmori, Dadeuraegi, Deotbaegi and Jajin‐Deotbaegi from the beginning, and thereafter, the Jilgut Jangdan was added.
    Through these results as above, it is confirmed that at the time of the first excavation, a simple form of <Bulmae‐song> such as <Aegieoreuneun‐song> has been changed into a male labor song, the purpose of which has changed, and that the playability has become stronger and changed into a performing 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