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敎育)은 어떻게 군자(君子)의 즐거움[樂]이 될 수 있는가? - 『맹자(孟子)』의 군자삼락(君子三樂)에 대한 송대(宋代) 학자들의 해석을 중심으로 - (How could education be the superior man’s enjoyment?: Focusing on Mencius’s the third enjoyment of the superior ma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4.09
27P 미리보기
교육(敎育)은 어떻게 군자(君子)의 즐거움[樂]이 될 수 있는가? - 『맹자(孟子)』의 군자삼락(君子三樂)에 대한 송대(宋代) 학자들의 해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97호 / 83 ~ 109페이지
    · 저자명 : 이연진

    초록

    본 연구는 『맹자(孟子)』, 「진심장구상(盡心章句上)」 20장 “得天下英才而敎育之 三樂也[천하의 영재를 얻어 교육하는 것이 (군자의) 세 번째 즐거움이다]” 라는 구절의 의미를 살펴보고 그 교육적 함의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당 구절의 『맹자집주대전(孟子集註大典)』 속 송대(宋代) 학자들의 논의를 파악해보며 그들의 논의에 담긴 교육적 함의를 부각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순서로는 먼저, Ⅱ장에서 “得天下英才而敎育之 三樂也”의 구절이 속한 단락인 20장의 맥락을 살펴보며 해당 구절의 핵심의미를 살펴본다. 그 과정에서 해당 단락의 집주(集註)와 세주(細註)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교육 및 교육의 대상, 군자의 즐거움에 대한 맥락적 의미를 파악할 것이다. Ⅲ장에서는 그 교육적 함의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맹자』의 “득천하영재이교육지(得天下英才而敎育之)”는 “군자지삼락(君子之三樂)”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교육이 군자의 즐거움이 되는 이유에 대하여 천착하여 질문을 제기하고 심도 있게 논의한 연구는 드물다. “得天下英才而敎育之 三樂也”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육(敎育)은 어떻게 군자(君子)의 즐거움[樂]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숙고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름 아닌 바로 이 질문에 대한 고찰이다. 이 질문이 중요한 이유는 “得天下英才而敎育之 三樂也”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는 데 핵심적일 뿐만 아니라 해당 구절이 내포하고 있는 함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유가들에게 있어서 교육의 즐거움은 다름 아닌 ‘사도지전(斯道之傳)’이었다.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고 인간이 나아가야 할 길에 입문하여 계속하여 정진해가도록 하는 것이다. 교사와 학생은 그러한 과정에서 동반자로서 인간다움을 향해 나아가는 여정을 함께 한다. 인간다움에 대한 배움의 전수는 학습자를 학문의 세계로 입문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교육의 목적 또한 학문 전수와 입문 그 자체에 있는 것이다. 교육의 목적은 그 결과나 효과에 있는 부수적인 것이 아니라 이러한 과정 그 자체를 통해 새로워지는 학습자의 변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육의 본질적 목적을 염두에 둘 때, 교사(敎師)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교사는 인간이 나아가야 할 길에 이미 입문하여 헌신하는 자로서 무엇보다 그 자체로 학생을 이끌 수 있는 모범이 된다. 교사는 교육의 본질적 목적을 이해하고 그것에 충실할 때 군자가 말한 교육하는 즐거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의 본질적 의미와 진정한 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해 숙고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e sentence, “It is the third enjoyment of the superior man to get and educate an outstanding disciple” in Mencius.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the in-text meaning of “It is the third enjoyment of the superior man to get and educate an outstanding disciple” in the context of the paragraph to which it belongs. In order to interpret the specific content of the sentence, the detailed annotations of the passage are utilized. Based on this, the main concepts of the sentence are viewed from a pedagogical perspective.
    How could education be the enjoyment of the superior man?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been studied to raise the question and discuss in-depth about it. The reason why this question is important is because it is not only key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sentence, but also helps to grasp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entence.
    The enjoyment of education for the superior man in Mencius lies in the teaching itself, which conveys the principle of understanding the world and humans. For the superior man, the purpose of education is not a means, but education, itself. Through education, learners’ perspective on world and humans continues to grow. The role of a teacher is even more important given the essential purpose of education. A teacher is an example that can lead students to strive to be a great human being. The teacher will be able to get the pleasure of education when he understands the essential purpose of education and is faithful to it. It is hoped that this interpretation will help to deepen the essential meaning of education and the role of a teac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