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료과오소송에서 과실상계에 관한 일고찰(一考察) ― 정신질환자의 자살에 대한 미국의 기여과실 법리 및 사례를 중심으로 ― (A Consideration on Comparative Negligence in Medical Malpractice ― Focus on Mentally Ill Patient Suicide Cases and Contributory Negligence in the United States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2
22P 미리보기
의료과오소송에서 과실상계에 관한 일고찰(一考察) ― 정신질환자의 자살에 대한 미국의 기여과실 법리 및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41권 / 1호 / 231 ~ 252페이지
    · 저자명 : 김항중

    초록

    정신과 의사 및 이와 관련된 일에 종사하는 의료인이 자살하려는 환자를 자해로부터 보호하지 못한 것은 의료과실의 원인 중에 하나이다. 사실 의사는 특정 환자가 심지어 최상의 상태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중에도 언제든지 자살을 시도하려는 성향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점을 정확하게 예견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법원은 정신적으로 이상이 있는 환자가 어떤 상황에서 어느 정도까지 자신을 스스로 보호해야 할 책임이 있는지를 판단함에 있어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정신질환자의 자살과 관련된 의료과오소송에서 미국의 기여과실 법리의 적용을 면밀히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미국법상 의료과오소송에서 기여과실에 대한 법적 쟁점을 몇몇 판례와 함께 심도 있게 검토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자살환자에 있어 기여과실 법리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특히 입원환자와 외래환자처럼 서로 다른 상황에서의 환자의 자기보호의무에 대한 검토와 함께 기여과실 법리 분석에 대한 근거 및 국내의 논의 쟁점에 주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인 제4장에서는 위에서 비교・검토한 내용을 토대로 우리 법원에 제시할 수 있는 유의미한 내용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For psychiatrists and mental health care providers, failure to protect patients who are trying to commit suicide from self-harm is one of the causes of serious medical malpractice. According to a study, more people are committing suicide each year in the United States than the number of deaths resulting from homicide. Physicians act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foresee a particular patient's inclination to commit suicide, even when he or she is being treated in the best condition. In this case, the court faces many difficulties in determining under what circumstances and to what extent a mentally ill patient is responsible for taking care of themselves. This article seeks to scrutinize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contributory negligence in medical malpractice related to the suicide of patients in the United States. To this end, Chapter 2 seeks to examine in-depth, the legal issues of contributory negligence in medical malpractice under the United States laws. Chapter 3 focuses on the consideration of contributory negligence in suicide patients, and examines the self-protection obligations of patients, especially in different situations, such as inpatient and outpatient settings, and focuses on domestic discussion issues. And the final chapter, Chapter 4, presents meaningful suggestions that can be presented to our court based on the comparison and review ab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