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의 지위와 권리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현행 형사소송법상 범죄피해자 보호규정을 중심으로 (Investigation on status of the victims in criminal action procedure and general plan for the assurance of rights-based on the current criminal action procedure’s victim protection law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8.06
30P 미리보기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의 지위와 권리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현행 형사소송법상 범죄피해자 보호규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17권 / 2호 / 9 ~ 38페이지
    · 저자명 : 곽영길

    초록

    형사소송절차의 진행은 범죄피해자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종래
    형사범죄 피해자는 범죄의 직접적인 소송관여자임에도 불구하고 형사소송절차에
    있어서 주변적인 역할만을 담당하였다. 그동안 헌법상 범죄피해자의 진술권보
    장(헌법 제27조 제5항)을 중심으로 형사소송법, 소송촉진 등에 관한 법률, 범죄
    피해자 구조법 등 각종 법률을 제정하여 범죄피해자를 형사소송의 주변인에서
    관심의 대상으로 전환하기 시작하여 최근에 이르러 형사소송법에서 피해자의 지
    위를 강화하는 규정이 대폭 신설 및 개정되었다. 이는 범죄피해자학계에서 그동
    안 꾸준히 제시하여왔던 각종 제도의 개선 및 신설을 반영한 결과로 평가된다.
    그렇지만 아직도 형사소송절차의 운영과정상 미비점이 발견되어 향후 입법적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개선하여야 할 정책과제에 대한
    제언과 입법적 제도 개선을 통해 기존의 형사소송절차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피해자의 지위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고 수행하였다.
    한편으로 형사절차 피해자의 지위강화는 형사소송의 이념인 실체적 진실발견
    을 어렵게 만드는 측면이 있으며 피의자나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는 점에서 이러한 측면도 함께 유의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e criminal action procedure starts from criminal victims. However,
    they usually took part in peripheral matters when it comes to criminal
    action procedure, although they were the actual partakers of the litigation.
    To guarantee their constitutional testimony right (constitution article 27
    section 5), many kind of laws, including lawsuit promotion, crime victim
    protection laws, were established, which led the victim’s role to be more
    concerning than merely a marginal man, and recently reestablished crime
    action procedure intensified the status of the victim by changing and
    re-making a lot of rules. This can be evaluated as the result of many
    academic studies and petition for amendment of many related laws and
    enactment of new laws so far.
    Revised criminal action procedure’s victim protection laws are reestablished
    and changed, though, it is on the early stage of enforcement. We are still
    in the situation where there are some of the laws that need to be made
    up since some of them are found to be inadequate during the procedur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upon reinforcement in position of victims
    who were isolated so far and suggested the solu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olicy and legislative systems. On the other hand, intensifying the status of the victims during the
    criminal action procedure has an aspect of making it difficult to discover
    the factual truth, which is an ideology of criminal action, and it can may
    damnify the suspect or the accused person’s right of self defense, so we
    tried to be aware of this kind of aspect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안행정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