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에서의 증언거부권에 대한 검토 - 우리 형사소송법상 증언거부권 법제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 (Testimonial Privilege in the United Stat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0.02
31P 미리보기
미국에서의 증언거부권에 대한 검토 - 우리 형사소송법상 증언거부권 법제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2권 / 3호 / 471 ~ 501페이지
    · 저자명 : 지유미

    초록

    형사절차에서 증인은 출석 의무, 선서 의무, 증언 의무 등 다양한 의무들을 부담하게 된다. 형사절차에서 증인이 부담하는 증언 의무와 관련하여우리 형사소송법 제148조와 제149조에서는 증언거부권을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증언거부권이란, 증언 의무를 부담하는 증인이 일정한 사유가 존재하는 경우 그와 같은 증언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형사소송법상 증인이 갖는 이와 같은 증언거부권에 대한 일반적 논의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증언거부권 법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그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여, 증언거부권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오랜기간에 걸쳐 상당수의 판례가 축적되어 왔을 뿐 아니라, 그 학문적 논의도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 온 미국에서의 증언거부권 법제를 검토하였다.
    미국 연방 차원에서 증언거부권은 보통법상의 권리로서 인정되고 있다. 미국에서도 증언거부권을 인정하는 것은 원칙이 아닌 예외에 해당하는데, 이와 같은 예외로서 증언거부권을 정당화하는 이론으로는 공리주의, 자치권의 보장, 정보 프라이버시의 보호 등이 제시되고 있다. 공리주의는 증언거부권의 가장 오래되고 전통적인 이론적 근거였으나, 이와 같은 공리주의가특히 가족관계에서의 증언거부권을 인정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으로 인해 자치권의 보장이나 정보 프라이버시의 보호 등이 증언거부권의 이론적근거로서 새로이 등장하게 되었다. 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종류의 증언거부권만이 인정되는 연방에서는 대표적으로 변호인-의뢰인 간 증언거부권, 배우자 간 증언거부권, 심리치료사-환자 간 증언거부권 등이 인정되고 있다. 이처럼 다른 주들과 비교할 때 연방에서 인정되는 증언거부권의종류가 더 적은 이유로, 미국 연방 차원에서 증언거부권 법제에 대한 개선 논의는 대부분 증언거부권 확장 문제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증언거부권 법제에도 물론 그 국가 고유의 역사적 · 사회적 · 문화적 맥락이 담겨있으므로 이상에서 검토한 미국의 증언거부권 법제를 우리나라에 그대로 옮겨 오는 것은 바람직하지도, 그렇다고 가능하지도 않다. 다만, 미국의 증언거부권 법제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결과,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상 증언거부권 법제와 관련하여 특히 다음과 같은 점들에 대한 재검토가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증언거부권이 증인이 아닌 비밀의 주체에게 귀속되는 미국 법제에서와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증인에게 그 증언거부권이 인정되고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증인이 증언거부권을 행사하지 않고 비밀을 공개하는 경우에는 비밀의 주체로서 이와 같은 공개를 통제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비밀의 주체로 하여금 비밀의 공개여부에 대한 통제권을 갖도록 하여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미국의 증언거부권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에서 가족관계와 같은 친밀한 관계에서는 형사상 불리한 내용의 증언에 대해서만 증언거부권이 인정될 뿐, 그와 같은 관계 내에서의 비밀대화에 대해서는 증언거부권이 인정되지 않고 있다. 프라이버시권의 보호를 위해서라도 가족관계와 같은 친밀한 관계에서도 비밀대화에 대한 증언거부권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형사소송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n criminal proceedings, witnesses have a variety of obligations, including attendance, oath and testimony. Regarding the testimony obligations of witnesses in criminal proceedings, Article 148 and 149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provide for the testimonial privilege.
    The testimonial privilege here means the right of the witnesses who are obliged to testify to refuse such testimony if there is certain reason.
    However, the general debate on such testimonial privilege of witnesses in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is still insufficient in Korea.
    Therefore, in order to derive som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law of testimonial privilege, this article examines the testimonial privilege in the United States where not only have a large number of cases been accumulated over a relatively long time in relation to such testimonial privilege, but the academic discussions have also been more active. At the U.S. federal level, the testimonial privileges have been recognized at common law. In the U.S., the recognition of the testimonial privileges is an exception, not a principle. Theories that justify such testimonial privilege include utilitarianism, guarantee of autonomy, and protection of informational privacy. Utilitarianism has been the oldest and most traditional rationale for the testimonial privilege. However, the fact that such utilitarianism was limited in recognizing the testimonial privilege, especially in family relationships, led to the emergence of the guarantee of autonomy and the protection of informational privacy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estimonial privilege. At the U.S. federal level, where relatively few types of testimonial privileges are recognized compared to states,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the spousal privilege, and the psychotherapist-patient privilege are generally accepted. The debate on improving the testimonial privilege law at the U.S. federal level has mostly focused on the issue of expanding the testimonial privilege, for the reason there are fewer types of federal testimonial privileges compared those of other states.
    Of course, it is neither desirable nor feasible to transfer the U.S.
    testimonial privilege law reviewed above to Korea, since it contains the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U.S.. However,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review of the U.S. law on testimonial privilege, it seems necessary to reexamine the following points regarding the law on testimonial privilege under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First, unlike in the U.S. law on testimonial privilege where the testimonial privilege belongs to the owner of the secret, not a witness, the testimonial privilege belongs to the witness in Korea. As a result, the problem arises in Korea that there is no way for the owner of the secret to control such disclosure if the witness does not exercise his or her testimonial privilege. Improvements are needed to in a way that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informational privacy by allowing the owner of a secret to have control over the disclosure of such secret.
    Second, compared to the testimonial privilege in the U.S., the testimonial privilege in intimate relationships, such as family relationships, is only recognized to refuse to testify about incriminating information, but not about confidential communications within such relationship under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For the protection of right to privacy,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should be revised in a way that recognizes the testimonial privilege about the confidential communications in intimate relationships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