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雪竇頌古』의 편찬과 간행에 대한 연구 - 호림박물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the versified comments for kōan by Xuedou - with a focus on Horim Museum edition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6.09
24P 미리보기
『雪竇頌古』의 편찬과 간행에 대한 연구 - 호림박물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67호 / 339 ~ 362페이지
    · 저자명 : 정영식

    초록

    『雪竇頌古』는 중국 송대의 雪竇重顯(980∼1052)이 공안 100칙에 頌을 붙인 것이다. 이 『설두송고』를 圜悟克勤(1063∼1225)이 강의한 강의록이 『碧巖錄』이다. 『설두송고』는 고려시대부터 우리나라에서 읽혀졌지만, 간행된 기록도 없고 현존본도 없다고 알려져 왔다. 그런데 이번에 조선 世祖代에 木活字로 간행된 『설두송고』가 호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중국 元代의 1342년에 간행된 것을 조선에 가져와 그대로 찍었다고 생각되지만, 간기가 없어 간행자와 간행연도를 알 수 없다. 다만 卷末에 惠川福珪가 쓴 서문이 붙어 있을 뿐이다.
    한편 중국국가도서관에는 『四家錄』이 존재하는데, 『사가록』이란 宏智頌古․雪竇頌古․投子頌古․丹霞頌古를 가리킨다. 이 『사가록』은 호림박물관본과 같은 해인 1342년에 浙江省에서 간행된 것이다. 그런데 이 『사가록』을 간행한 사람은 海島․惠川福珪 등이다. 따라서 혜천복규는 중국 절강성의 사람임을 알 수 있다. 이 『사가록』의 『설두송고』에 서문을 쓴 사람은 혜천복규가 아니라 慧從이다. 따라서 국가도서관본은 호림박물관본과는 다른 계통임을 알 수 있다. 또 국가도서관본에는 ‘新刊四家錄’이라 적혀있는 반면, 호림박물관본에는 ‘重刊四家錄’이라 적혀 있다. 뿐만 아니라 호림박물관본에는 曇玉의 서문 뒤에 ‘至正壬午歲重書’라고 되어 있지만, 국가도서관본에는 이 글자가 없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1342년 중국의 절강성에서는 海島․惠川福珪 등이 新刊四家錄을 간행하였고, 그 후 같은 해에 다시 重刊四家錄을 간행하였으며 이때 惠川福珪가 서문을 썼다. 이 중간사가록을 조선에 가져와 목활자로 찍은 것이 호림박물관본이라 추측된다. 현재 이 중간사가록을 누가, 무슨 목적으로 간행했는지는 알 수 없다. 조선 초기에 『벽암록』이나 『설두송고』는 대중화된 서적은 아니었지만, 학식이 높은 승려나 선에 관심이 있는 소수의 선비들에게는 읽혀졌을 것이다. 그러므로 소량의 부수만을 찍기 위해 목활자로 간행한 것이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versified comments for kōan by Xuedou(雪竇頌古)’ is a compilation of comments written by Xuedou-zhongxian(雪竇重顯, 980∼1052) during the Song Dynasty on 100 principles of Buddha’s teaching. Based on this, Priest Yuanwu-keqin(圜悟克勤, 1063∼1225) made a book of lectures titled ‘Blue Cliff Record(碧巖錄)’. ‘the versified comments for kōan by Xuedou’ began to be read since the Goryeo Dynasty, but there has been no published records or remaining copy of the book. However, it became known that ‘the versified comments for kōan by Xuedou’ printed in wooden type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the Joseon Dynasty is owned by Horim Museum. Presumably, it is a duplicate copy of the book published in China in 1342 during the Yuan Dynasty. However, the name of publisher or the date of publication cannot be found due to the absence of imprint. The book only has a preface written by HuiChuan-fugui(惠川福珪) attached at the end of the book.
    National Library of China owns ‘Sagarok(四家錄)’, which includes ‘hongzhisonggo (宏智頌古)’, ‘xuedousonggo(雪竇頌古)’, ‘touzisonggo(投子頌古)’ and ‘danxiasonggo(丹霞頌古)’. ‘Sagarok’ was printed in Zhejiang Province in 1342, the same year that the Horim Museum edition was printed. ‘Sagarok’ was published by HaiDao(海島), HuiChuan-fugui and others. It means that HuiChuan-fugui was from Zhejiang Province in China. For ‘the versified comments for kōan by Xuedou’ included in ‘Sagarok’, HuiCong(慧從), not HuiChuan-fugui, wrote a preface. Thus, we can surmise that the edition of ‘the versified comments for kōan by Xuedou’ at National Library of China is different from the one at Horim Museum. While ‘Sagarok first edition’ is written on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 edition, the Horim Museum edition is noted to be ‘Sagarok revised edition’. In addition, ‘jijeongimosejungseo(至正壬午歲重書)’ is written after the preface by TanYu(曇玉) on the Horim Museum edition, but this wording is missing in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 edition. That is, HaiDao, HuiChuan-fugui and others published first edition of Sagarok in Zhejiang Province of China in 1342, and its revised edition in the same year with the preface by HuiChuan-fugui. Presumably, the Horim Museum edition is this revised edition of Sagarok brought into Joseon to be printed in wooden types. It is unknown who printed the revised edition of Sagarok with what purpose.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neither ‘Blue Cliff Record’ nor ‘the versified comments for kōan by Xuedou’ were popular, and they are likely to have been read by a few well-learned priests and classical scholars interested in Zen buddhism. Probably, wooden types were used to print only a small number of boo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