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병순(宋秉珣)이 편찬한 교육서 『학문삼요(學問三要)』에 대하여 (On the educational book Hakmunsamyo(『學問三要』) compiled by Song Byung-so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3.09
22P 미리보기
송병순(宋秉珣)이 편찬한 교육서 『학문삼요(學問三要)』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육사학 / 45권 / 3호 / 1 ~ 22페이지
    · 저자명 : 구순옥

    초록

    본고는 근대 유학자이며 교육자, 순국지사인 송병순(宋秉珣, 1839~1912)의『학문삼요』를 살펴보고 편찬의 의의를 밝힌 것이다.『학문삼요』는 학문의 요체를 독서, 존양성찰(存養省察), 천리(踐履) 세 가지로 규정하고 주희, 이황, 이이, 김장생, 송시열의 글 가운데 핵심적인 내용을 채록하여 1891년(고종 28) 그의 나이 53세 때 편찬한 교육서이다. 송병순은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9세손으로, 가학을 바탕으로 큰아버지 송달수(宋達洙, 1808∼1858)의 학맥을 계승한 유학자로, 그의 형 송병선(宋秉璿, 1836~1905)과 함께 연재학파를 형성하여 1,100명의 직전 제자를 양성한 교육자이다. 그간 학계에서는 이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대부분 그들의 생애와 민족운동, 연재학파 형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우국지사라는 관점에 치우쳐 그들이 남긴 저술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송병순은 35권 15책의 문집『심석재집(心石齋集)』과『학문삼요』,『주서선류(朱書選類)』,『고금필첩(古今筆帖)』,『사례축식(四禮祝式)』,『용학보의(庸學補疑)』등 많은 저술을 남겼지만, 번역이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간략한 해제 작업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작품도 있다. 이 저술들은 그의 학술과 사상, 강학 활동 등을 실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들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유학자,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조명할 필요가 있다. 현재『학문삼요』는 다수의 목판본과 필사본이 남아있는데 1903년, 1907년, 1927년 3차례 간인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편찬 취지와 과정, 구성과 방법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당시 조선의 국권은 상실되어 가고 서학이 유입되어 정통 유학의 권위는 무너지고 기존의 유교적 질서는 붕괴되는 상황 속에서 송병순이 선현의 저술 가운데 학문의 요체를 담은 글을 발췌하여 편찬한『학문삼요』는 바로 독서를 통해 배우고 타고난 본성의 회복하고 자신을 살피며 이를 실천하는 유교적 학문을 되살리고자 한 바람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Song Byung-soon(宋秉珣, 1839~1912)’s Hakmunsamyo(『學問三要』) and reveals the significance of the compilation. Hakmunsamyo defines the essence of study as reading(讀書), chonyangsongchal(存養省察), and practice(踐履). Hakmunsamyo was compiled by selecting important contents of Zhu-xi(朱熹), Yi Hwang(李滉), Yi I(李珥), Kim Jang-saeng(金長生), and Song Si-Yeol(宋時烈)’s writings. Song Byung-soon compiled this educational book in 1891 (the 28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when he was 53 years old. Song Byung-soon was a Confucianist who was the 9th generation descendant of Song Si-yeol (1607-1689). Based on his family learning(家學), he succeeded his uncle, Song Dal-Soo’s(宋達洙, 1808∼1858). Song Byung-soon formed a Yeonjae school(淵齋學派) with his brother Song Byung-seon(宋秉璿, 1836-1905) and trained 1,100 disciples. Song Byung-soon left many writings, including Collections of Simseokjae(『心石齋集』), Hakmunsamyo(『學問三要』), Selected collection from Zhu-xi(『朱書選類』), and Yonghakboui(『庸學補疑)』. These writings are valuable evidence that could substantially demonstrate Song Byung-soon’s academic, ideological, and lecture activ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ed light on his appearance as a confucianist and educator through study on writings. Currently, there are many woodblock prints and manuscripts of Hakmunsamyo, which were printed in 1903, 1907, and 1927. This paper examines purpose and process of compilat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Hakmunsamyo. When Hakmunsamyo was compiled, national sovereignty was weakened and western studies were introduced, and the order of Confucianism was collapsing. This book is the result of Song Byung-soon’s wish to revive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