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계(松溪) 신계성(申季誠)의 시대정신과 그 학술사적 위상 (A Study on the Spirit of the Times and Its Academic History of Shin Gye-seong(申季誠))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4.06
34P 미리보기
송계(松溪) 신계성(申季誠)의 시대정신과 그 학술사적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56권 / 25 ~ 58페이지
    · 저자명 : 정출헌

    초록

    이 논문은 학계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송계(松溪) 신계성(申季誠, 1499~1562)이라는 인물의 학문세계를 재조명해보려는 목표로 작성되었다. 현재 신계성에 대한 자료는 매우 적은 1차 자료와 후대의 관련 자료를 묶어 순조 9년(1809) 편찬된 『송계실기(松溪實紀)』가 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살아생전에는 조식(曺植)․이희안(李希顏)과 함께 ‘영남의 세 고사[嶺中三高]’로 병칭될 만큼 명망이 높은 학자였다. 실제로 조식은 신계성의 묘갈명을 쓸 때, “우리 당의 인물 가운데, 신군이 으뜸이라네.[吾黨有人, 申君爲最]”라는 말로 시작하고 있다. 나아가 신계성이 조식과 함께 젊은 시절 강학했던 김해의 산해정(山海亭)은 광해군 때 신산서원(新山書院)으로 승격되어 조식과 함께 병향(並享)하여 사액(賜額)했을 정도였다.
    하지만 밀양에서 태어나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을 사숙하고, 선산지역의 송당(松堂) 박영(朴英)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중종-명종대의 사화를 피해 은거하며 조식·성운·성수침 등과 도의의 교유를 하며 마음공부에 정진했던 그의 존재는 광해군대 북인정권의 몰락과 함께 거의 잊혀져버린 존재가 되었다. 때문에 정붕(鄭鵬)과 박영의 학문을 계승하여 『소학』과 『대학』을 중시했으며, 조식과 마찬가지로 “공경하는 마음을 가지고 내면을 곧게 하고, 의로운 마음을 가지고 외면을 방정하게 한다[敬以直內, 義以方外]”을 학문의 요체로 삼았던 그의 학문은 새롭게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그것은 김굉필(金宏弼) → 정붕(鄭鵬) → 박영(朴英)을 거쳐 신계성에게 이어지는 새로운 학맥, 곧 ‘송당학(松堂學)’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작업이기도 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was written with the aim of re-examining the academic world of a person named Shin Gye-seong (申季誠, 1499-1562), which was rarely dealt with in the academic world. Currently, it can be said that the only data on Shin Gye-seong are "Songgye Silgi", compiled in the 9th year of King Sunjo (1809) by combining very few primary data and related data from later generations. However, before he lived, he was a prestigious figure who was called as 'three high scholars living in the Yeongnam region' along with Cho shik and Lee Hee-an. In fact, when writing the tombstone of Shin Gye-seong, Cho shik began with the words, "Among our colleagues, Shin Gye-seong is the best." Furthermore, Sanhaejeong in Gimhae, where Shin Gye-seong studied with Cho shik in his youth, was promoted to Shinsan Seowon during the Gwanghaegun period and was enshrined with Cho shik to receive the name of the king.
    However, his existence, which was born in Miryang, studied at Kim Jong-jik, learned from Park Young in the Seonsan area, and devoted himself to studying his mind by exchanging breakfast, nebula, and holy water saliva to avoid the political persecution of King Jungjong and Myeongjong, became almost forgotten along with the fall of the Northern Injeonggwon of Gwanghaegun County. For this reason, he emphasized "Sohak" and "University" by inheriting the studies of government officials and Park Young, and, like breakfast, made "to straighten the inside with respect and to the outside with a righteous heart" as the core of his studies need to be re-examined. Furthermore, it is also a work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new academic connection, that is, "Songdanghak(松堂學)", which extends from Kim Goong-pil, government officials, and Park Young to Shin Gye-s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전